제주도의회, 제주 흑우산업 축산농가의 새 희망으로 육성 필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0 19:00:12
  • -
  • +
  • 인쇄
양영식 위원장, 제주 흑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 주문
▲ 제주도의회, 제주 흑우산업 축산농가의 새 희망으로 육성 필요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양영식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연동갑)은 제435회 임시회 제2차 농수축경제위원회의 2025년 업무보고에서“제주스러운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며, “제주의 흑우 산업을 발전시켜 축산 농가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제주흑우 산업의 적극적인 육성 대책 추진을 주문했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제주흑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2021년 ‘향토자원 제주흑우 브랜드 육성 전략’을 수립했다”며 “2030년까지 제주흑우 사육두수를 현재 약 1,400여 두에서 4,000두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양영식 위원장은“도에서 설정한 전략에 따른 목표 달성을 위해 제주 전통흑우의 개량 방향을 설정하고, 사육 시스템을 강화하며, 유통 시장을 확대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능력 흑우 수정란 생산 및 공급을 통해 우수한 흑우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흑우인증 농가 등에 대한 생산비 지원 방안도 병행 확대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소비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제주흑우 계열화 시스템 구축, 인증 기준 적용, 차별화된 마케팅 및 판매 시설 지원이 필수적”이며, “흑우 데이(DAY) 및 흑우 축제 확대 운영 등을 통해 관심을 높이는 데에도 행정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양영식 위원장은 “제주흑우 산업이 일본의 ‘와규’나 제주 흑돼지처럼 제주 경제의 기반 산업으로 자리 잡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제주도, MZ세대 맞춤형 관광 발전방안 연구 완료

[뉴스스텝] 제주를 방문하는 MZ세대(1980-2010년대 출생)는 로컬 경험과 환경 윤리를 중시하는 가치소비자이자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외국인 MZ세대는 내국인의 2배에 달하는 소비력을 보이며, 제주 관광의 새로운 핵심층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한국관광외식문화원에 의뢰해 진행한 ‘제주 MZ관광 발전방안 연구용역’

전라남도, 우리동네 복지기동대, 전남 대표 생활복지 모델로 자리매김

[뉴스스텝] 전라남도 ‘우리동네 복지기동대’가 출범 5년 만에 27만 6천 가구를 지원하는 등 마을 이웃과 함께 취약계층의 생활 불편을 신속히 해결하는 전남 대표 생활복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우리동네 복지기동대는 2019년 4월, 전국 최초로 민관협력 봉사조직으로 출범했다. 복지기동대는 마을 이장·부녀회장, 생활 밀접 기술을 가진 주민, 자원봉사자들이 공무원과 함께 이웃의 어려움을 살피고 해결하는

추석 연휴, 가족과 함께 경기옛길 걸어요. 경기도, 4개 코스 추천

[뉴스스텝] 경기도가 추석 연휴와 나들이 하기 좋은 가을을 맞아 경기도의 대표 역사문화탐방로인 ‘경기옛길’의 주요 코스를 추천했다.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에서 전국으로 연결되던 주요 교통로를 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조성한 탐방로다. 현재 총 7개 길, 56개 구간, 677km에 달한다.우선 의주길 제5길 임진나룻길(파주)은 파주 독서삼거리에서 임진각까지 이어지는 코스다. 율곡 이이의 자취가 남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