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강소연구개발특구! 첨단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중심 되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30 18:56:36
  • -
  • +
  • 인쇄
2023년 강소특구 연차평가 결과, 구미 ‘최우수’, 포항 ‘우수’ 등급 받아
▲ 경북도청

[뉴스스텝] 경상북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한 2023년도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연차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국 14개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를 대상으로 연구소 기업 설립ㆍ지원, 기술이전, 창업 등 정량적인 부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자체와 사업단의 노력 등 정성적인 부분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 경상북도는 구미 강소특구 ‘최우수’, 포항 강소특구 우수’등급을 받았다.

구미 강소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인 금오공대를 중심으로 스마트 제조 시스템을 특화 분야로 설정하고, 관계 기관과 혁신네트워크 구성ㆍ운영, 유망 우수 기술 수요기업 매칭, 창업지원 등으로 스마트 제조 분야 매출 향상과 지역 특화기업 육성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끌어 냈다.

그 결과 2023년도 기술이전 35건, 연구소 기업 설립ㆍ지원 12건, 신규창업 16건, 지원기업 매출액 930원, 투자 연계 63억원, 일자리 창출 397명의 성과를 통해 강소특구의 좋은 모범사례를 제시했다.

특히, 구미 특구 내 2023년 연구소기업 및 첨단 기술기업으로 지정된 ㈜엔에스랩은 산업용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해 미국 MMAI사에 200만 달러 수출 성과를 기록했다

포항 강소특구는 첨단 신소재 분야를 특화분야로 설정하고, 기술핵심기관인 포항공대의 원천기술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의 실용화기술을 연계함과 동시에 비수도권 최초 민관협력형 혁신창업 공간인 팁스타운을 개소하여 딥테크 기업 투자유치 환경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2023년도 기술이전 65건, 연구소 기업 설립ㆍ지원 7건, 신규창업 15건, 지원기업 매출액 179억원, 투자연계 524억원, 일자리 창출 248명의 성과를 올렸다.

또한, 포항 특구 내 그래핀스퀘어(주)는 세계 최초로 그래핀 대량 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한 그래핀 상용화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CES에서 2년 연속 혁신상을 받는 등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강소특구는 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주요 거점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ㆍ고밀도 집약 공간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R&D 특구로 지정·육성하는 연구, 주거, 산업, 문화가 집적한 자족 공간으로 경북에는 포항(2019년), 구미(2020년) 2개 지역이 지정되어 있다.

이정우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지역주도 혁신클러스터의 중심인 강소특구의 체계적 육성을 통해 기술-창업-성장으로 이어지는 지역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강소특구가 첨단산업의 혁신성장 거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립도서관, 기후위기에서 기후회복으로 인문학 특강 개최

[뉴스스텝] 속초시립도서관은 오는 9월 18일 오후 7시 도서관 시청각실에서 시민 40여 명을 대상으로 인문학 특강 ‘기후위기에서 기후회복으로’를 진행한다. 이번 특강은 ‘2025 사시사철 인문학’ 시리즈의 네 번째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강연자는 대기과학자이자 경희사이버대학교 기후변화 특임교수로 활동 중인 조천호 교수다. 조 교수는 이번 강의를 통해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로만 보지 않고, 인류 공동체

칠곡군의회 오용만 의원,약물 오·남용 예방과 자극적 상품명 개선으로 군민 건강 보호 촉구

[뉴스스텝] 칠곡군의회 오용만 의원은 군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칠곡군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예방활동과 마약류 상품명 사용문화 개선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오 의원은 “최근 청소년층을 넘어 노인층에서도 의약품 남용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마약류 상품명이 자극적으로 사용되어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우려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

오경훈 진주시의원, 자치법규 다듬고 읍면동위원회에 힘 싣는다. “모두가 누리는 무장애도시 진주”

[뉴스스텝] 진주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가 전부개정되면서 적용대상 개별시설의 범위가 확대되고, 시와 읍면동의 무장애도시추진위원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오경훈 진주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부개정조례안이 제268회 진주시의회 임시회 경제복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16일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최종 가결되면, 공원, 공공건물, 공중이용시설, 공동주택 외에도 통신시설과 그밖에 편의시설 설치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