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폭염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보다 탄탄하게 보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1 18:55:50
  • -
  • +
  • 인쇄
강 시장, 송정1동 행정복지센터 찾아 자원재생활동단 애로사항 청취
▲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1일 오후 광산구 송정1동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송정1동 자원재생활동단 어르신들과 투명페트병 라벨제거 작업을 함께하고 있다.

[뉴스스텝] “한여름 땡볕에 종일 돌아다니면 폐지 30~40㎏를 줍습니다. 요즘은 가격이 그나마 올라서 하루에 1800~2400원 정도 버는데 더위도 피하고 안전하게 일거리를 얻어서 너무 좋아요!” - 송정1동 자원재생활동단 A씨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1일 오후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전국 최초로 시행한 ‘자원재생활동단’ 현장을 찾았다.

강 시장은 자원재생활동단 시작 첫날인 이날 광산구 송정1동행정복지센터에서 ‘송정1동 자원재생활동단’과 안전교육을 듣고, 투명페트병 라벨제거와 폐건전지 선별 등 재활용품 선별작업을 함께 하며 어르신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강 시장은 어르신들의 자원재생활동단 참여 계기와 폐지 수집의 어려움 등을 묻고,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송정1동 자원재생활동단 B씨는 “다른 사람한테 자원재생활동단을 안 하는 이유를 물어보니까 식당, 마트, 학교 등 주로 폐지수집을 하러 가는 곳이 있는데 하루라도 안 가면 다른 사람한테 뺏길까봐 걱정이 된다고 했다”며 “이러한 어려움을 시에서도 잘 헤아려주면 좋겠다”고 어려움을 전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폭염에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자원재생활동단에 참여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자원재생활동단에 참여하지 못하는 어르신들에게 어려움이 있다고 들었다. 광주시는 앞으로도 폭염에 취약한 시민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모색하고 보다 탄탄하게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원재생활동단’은 폭염에 취약한 환경에 노출되는 폐지수집 어르신들에게안전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8월 한달간 폐지 수집 대신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안전교육과 자원순환 관련 체험 등을 실시하며 최대 20만원을 지원한다.

광주시는 자원재생활동단 사업을 위해 각 구별로 전수조사를 실시했으며, 노인일자리 참여자 등을 제외한 인원 중 사업 참여를 신청한 79명(37%)이 올해 자원재생활동단으로 참여하고 있다.

광주시는 이상기후로 폭염과 폭우가 빈번한 가운데 대부분 고령인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온열질환 예방하는 등 건강한 여름나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 7월 폐지 수집 어르신에게 휴대용 선풍기, 양우산, 쿨패치 등 9가지 물품과 폭염 행동요령 소책자가 담겨있는 ‘폭염 안전물품 꾸러미’를 지급했다. 또 오는 9월 폐지 수집 어르신의 안전 보호를 위해 경량 손수레를 보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나주시, ‘청소년수련관 유지보수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전라남도 나주시는 지난 22일 청소년수련관에서 청소년수련관 유지보수 관련 간담회를 열고 청소년들의 의견을 직접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이번 간담회는 노후화된 청소년수련관의 안전성 확보와 환경 개선을 위해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 온 리모델링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공간 활용 방안에 대한 청소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기 위해 기획됐다.이날 간담회에는 나주시 관계 공무원, 설계용역

천안도시공사, 서산시시설관리공단과 고향사랑기부제 상호 기탁

[뉴스스텝] 천안도시공사는 23일 서산시시설관리공단과 ‘고향사랑기부제 상호기부금 기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공사와 공단은 임직원들의 따뜻한 마음을 모아 약 1,200만 원을 상호 기탁했다. 기부금은 최근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천안시와 서산시의 수해 복구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공사와 공단은 앞으로도 재난·재해 대응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상호 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달성군,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회의 개최

[뉴스스텝] 달성군은 지난 23일 달성군청 중회의실에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달성고령지사, 달성군보건소, 관내 재가노인돌봄센터 등 주요 서비스 제공기관과 군청 및 읍면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대상자 맞춤형 통합지원계획을 논의하고, 각 기관이 제공할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나누었다. 각 기관은 이 계획에 따라 대상자에게 맞춤형 돌봄 통합지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