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비엔날레 25시 – 9월 23일, 10만 넘어선 공예비엔날레,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 다양한 관람객 이벤트로 보답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4 18:31:49
  • -
  • +
  • 인쇄
10만 돌파 ... 국군의 날⦁노인의 날⦁임산부의 날 이벤트로 보답
▲ 청주비엔날레 25시 – 9월 23일, 10만 넘어선 공예비엔날레,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 다양한 관람객 이벤트로 보답

[뉴스스텝] 23일 오후 4시 기준, 마침내 현장 누적 관람객 10만 명을 돌파하며 종일 북적인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모든 프로그램마다 화제였고, 모든 순간이 빛났다.

어느덧 깜짝 공연의 명소가 된 본전시 황란 작가의 작품 앞에서는 오늘도 플루트 연주자 정혜연의 연주가 관람객에게 감미로운 선율을 선사했고, 야외광장에서는 유튜브 댄스 분야 양대산맥 딩가딩가스튜디오와 비바댄스스튜디오가 컬래버한 역대급 랜덤플레이 댄스가 비엔날레를 K-POP의 열기로 후끈 달아오르게 만들었다.

학술 프로그램마저 ‘핫’했다. 3D 프린팅부터 화학과 만난 도자, 퍼포먼스까지 융복합 도자의 세계를 한 자리에서 만나는 국제 워크숍 ‘세라믹 인 액션’에서는 작가들의 강연도 화제였지만, 본전시 참여작가 주오밍순 작품을 활용한 퍼포먼스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전시장에 놓인 작품을 넘어 사람과 만나 생명을 얻는 사물을 도자로 빚는 작가 주오밍순의 작업세계와 매력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수준 높은 전시는 물론 시간대별 다양한 즐거움으로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는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맞춤형 이벤트로 관람객의 사랑에 보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10월 1일 국군의 날에는 군대에 간 연인, 혹은 자녀를 둔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예 클래스를 연다. 마음을 새기는 ‘각인 팔찌 만들기’, 군화 대신 ‘운동화 커스텀’, 관물대마저 향기롭게 만들어줄 ‘석고 방향제 만들기’, 3가지 강좌가 마련된다. 날짜 관계없이 비엔날레 입장권 소지자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비엔날레 공식 홈페이지와 SNS에서 24일까지 선착순으로 마감한다.

10월 2일 노인의 날에는 오전 10시부터 17시까지, 65세 이상 비엔날레 특별우대권(50% 할인)을 소지한 입장객을 대상으로 ‘추억사진관’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밖에도 10월 9일 한글날, 10월 10일 임산부의 날 등 맞춤형 이벤트로 관람객의 즐거움을 더할 계획이다.

모든 이벤트에 관한 소식은 비엔날레 공식 홈페이지와 SNS 등에서 순차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해시, 무릉별유천지 폐쇄석장 문화재생사업 실시설계 최종보고회 개최

[뉴스스텝] 동해시는 오는 10월 15일, 무릉별유천지 내 폐쇄석장 일원에서 추진 중인 ‘무릉별유천지 폐쇄석장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 실시설계 최종보고회를 개최한다. 이 사업은 지난 50여 년간 석회석 채광을 통해 우리나라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던 무릉별유천지 내 폐쇄석장 유휴공간(연면적 2,449.76㎡, 지상 1층/지하 4층)을 리모델링해 문화 및 집회시설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다. 특히, 기존 산업시

강원관광재단, 양구에서 '디엠지(DMZ) 감성 축제(바이브 페스타)' 개최

[뉴스스텝] 강원관광재단이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과 함께 오는 10월 25일 양구군 백자박물관 잔디마당에서 ‘디엠지 감성 축제(DMZ VIBE FESTA) 양구에서 바이브하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5-2026 강원 방문의 해’와 연계한 이번 축제는 화천에 이어 세 번째 접경지역 순회 행사로, 양구의 특산물과 문화예술이 어우러진 가족 체험형 축제다. 양구를 대표하는 백자박물관 도예 체험과 연계해 예

부여군,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부여 정림사지’ 11일간의 빛의 여정 마무리

[뉴스스텝] 지난 2일부터 12일까지 부여 정림사지 일원에서 열린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부여 정림사지’가 수많은 방문객의 참여 속에 11일간의 여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사비전승’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사비백제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하여 관람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특히, 정림사지 오층 석탑과 강당을 함께 미디어아트 콘텐츠로 구성한 ‘빛의 탑,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