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울역 광장에 노숙인 위한‘아리수 무료 자판기’설치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5 18:30:06
  • -
  • +
  • 인쇄
서울역 광장 부근 위치한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에 설치…24시간 언제든지 이용 가능
▲ 병물 아리수 무료자판기 설치 사진

[뉴스스텝] 서울시는 지난달 17일 서울시 중구 소재 노숙인 지원 시설인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에 ‘아리수 무료 자판기’ 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중구 통일로 13)’는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노숙인 지원 시설로 거리 노숙인들을 위한 자활·재활시설 입소 연계, 임시 주거 제공, 일자리 및 의료 지원, 편의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폭염대책 기간 중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쪽방촌, 노숙인들에게 매년 병물아리수 10만 병을 지원해 왔다.

지난 여름에도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에 병물아리수 3만 병을 지원했으며,지난 8월 폭염기간에는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자원봉사단인 ‘아리수 동행단’이 직접 현장을 찾아가 취약계층에게 시원한 얼음물을 전달하기도 했다.

‘아리수 무료 자판기’ 운영을 통해 기존에는 지정된 시간에 줄을 서서 물을 받는 불편함과 기다리는 동안 외부 시선을 의식할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에 아리수를 마실 수 있도록 했다.

‘아리수 무료 자판기’는 350㎖ 병물아리수를 제공한다.

시는 우선 노숙인지원센터에 설치된 아리수 자판기를 시작으로 이용 현황을 고려해 노숙인 시설, 쪽방촌 등 취약계층을 위한 ‘아리수 무료 자판기’ 확대 설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1회용품 사용 감축 정책에 따라 2019년도부터 각종 재난 및 단수 상황을 대비해 병물 아리수 비축하고, 제한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병물 아리수는 1회용품 사용량 감축 및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2018년 페트병 중량을 19그램에서 14그램으로 26.3% 경량화했으며, 2020년부터는 라벨을 없애고 분리배출이 쉽도록 디자인을 개선한 바 있다. 지난해부터는 기존 제조 일자 등 표기에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 날인 방식 도입했으며, 올해는 재생원료 30% 용기를 도입했다.

유연식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아리수는 서울 시민의 ‘생명수’라는 철학으로 겨울철에도 취약계층에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아리수 무료 자판기’를 설치했다.”라면서 “앞으로도 최고 품질의 수돗물 아리수를 필요한 곳에 제공해 동행 서울 실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게임의 내일을 여는 21번째 이야기… '지스타 2025' 부산에서 만나다!

[뉴스스텝] 부산시는 내일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벡스코 등에서 국내 최대 게임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개최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글로벌 게임산업 관계자와 팬들이 한자리에 모여 신작 게임을 체험하고, 최신 게임산업 트렌드를 공유하는 국제게임전시회로, (사)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한다.올해 '지스타'는

고양문화재단, 탈춤극 ‘풍편에 넌즞 들은 아가멤논’ 선보인다

[뉴스스텝] (재)고양문화재단은 오는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에서 천하제일탈공작소의 탈춤극 〈풍편에 넌즞 들은 아가멤논〉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2022년 같은 무대인 새라새극장에서 초연돼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작품으로 3년 만에 다시 돌아오는 무대다. 초연 당시 참신한 공간 연출과 전통·현대의 경계를 허무는 독창적인 시도로 여러 국내외 페스티벌의 주목을 받으며

(재)광명문화재단, 송년 기획 공연 '나윤권 콘서트 '동감'' 개최

[뉴스스텝] (재)광명문화재단은 송년 기획 공연으로 나윤권 콘서트 '동감'을 오는 12월 12일 오후 7시 30분 광명시민회관 공연장에서 선보인다.이번 공연은 대중성과 음악성을 두루 갖춘 보컬리스트 나윤권이 출연하여 연말의 감성을 담은 대표 히트곡과 겨울 분위기에 어울리는 감성적인 무대를 선사한다.‘나였으면’, ‘그대가 있어 웃는다’, ‘동감’ 등 관객에게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곡들이 밴드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