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부산모카 플랫폼_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1 17:55:02
  • -
  • +
  • 인쇄
2025.4.13.까지 미술관 전시실 2, 3에서 열려… 디지털 지능화 기술 융합 세상, 사람과 환경의 실체적 연결과 교감이라는 미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이야기로 여정 확장해
▲ 부산현대미술관(관장 강승완)은 오는 2025년 4월 13일까지 부산현대미술관 지하 1층 전시실 2, 3에서 《2024 부산모카 플랫폼_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뉴스스텝] 부산현대미술관은 오는 2025년 4월 13일까지 부산현대미술관 지하 1층 전시실 2, 3에서 《2024 부산모카 플랫폼_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4 부산모카 플랫폼’은 ‘환경과 생태’를 대주제로 지난해(2023년)부터 시작한 연례전이다. ‘자연과 인간’의 원초적 관계성을 사유했던 2023년 첫 전시 《2023 부산모카 플랫폼_재료 모으기》에 이어 올해는 《2024 부산모카 플랫폼_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를 선보인다.

《2024 부산모카 플랫폼_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는 디지털 지능화 기술 융합 세상 그리고 사람과 환경의 실체적 연결과 교감이라는 미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이야기로 여정을 확장한다.

또한, 초시공적 연결망(네트워크)으로 연결되고 진화하는 지구 환경, 그 예측 불가능의 확장 현실 속 ‘증강 인류 시대’의 인간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설정과 연결 교감의 경험을 탐구한다.

양방향(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크립토 아트, 인공지능, 데이터 조각, 게임, 영상 등 새로운 기술 융합형 뉴미디어아트 작품들을 중심으로 공모전 선정팀 4개 팀과 국내외 초청작가 16개 팀 총 50명의 작품(총 56점)으로 구성된다.

지난 4월 30일부터 약 한 달간 공개 모집을 통해 선정한 기술자, 개발자 등 3인 이상으로 구성된 다학제 그룹 4팀은 ‘예술 감각 혁신 공장’(정해인, 최은영, 김지환), ‘초원지 건축사무소’(이지원, 김현지, 김휴초), ‘판테온의 사도들’(이현민, 이병엽, 박찬주, 심명규), ‘서소’(노현지, 김영란, 권민아, 이민희, 이슬기, 조현재, 허준)이며, 각 팀은 이번 프로젝트의 연구 과정과 결과물을 선보인다.

초청작가로는 빌 비올라(Bill Viola, 미국), 목진요(한국), 유니버셜 에브리띵(Universal Everything, 영국), 마리오 클링게만(Mario Klingemann, 독일), 블라스트 씨어리(Blast Theory, 영국), 옥승철(한국) 등 국내외 작가와 연구자, 기술자, 개발자 등 총 19명이 함께한다.

다양한 기술 기반의 작품을 통해 현재의 무한 확장 현실 속 '증강 인류의 시대'에서 '우리'라는 관계의 자연성과 순수성에 관한 미래적 탐구와 사유를 중심으로, 기계적 예측성과 인간적 감수성 그사이의 관람자적 시선과 경험의 확장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혁신과 기술 진화에 대한 불확실한 미래의 불안은 존재하지만, 전시는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한 문화적 기대 가치와의 모순된 관계성에 주목한다. 인공지능의 기계 예측성과 인간 감수성의 창조적 공존과 융합은 ‘환경과 생태’라는 《부산모카 플랫폼》의 대주제를 확장하며, 환경과 생태계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고민과 성찰을 공유한다.

또한, 전시 기간 관람객의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와 연계한 강연, 워크숍,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진행될 예정이다.

상시 프로그램으로 로봇이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얼굴을 그려주는 '휴먼 스터디#1(Human Study #1)'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 수집의 경각심을 일깨우는 ‘얼굴 도둑 시대의 자화상’을 만나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미디어 아티스트 신승백과 인공지능 기반의 진화된 시각기술이 우리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탐구해 볼 수 있는 강연, 참여 작가 대담회, 전시 연계 퍼포먼스, 가상현실(VR)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들도 선보인다.

프로그램 참여는 사전 예약 및 현장 관람을 통해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문의는 부산현대미술관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장은 “디지털 지능화 기술 융합 세상 그리고 사람과 환경의 실체적 연결과 교감이라는 미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다층적인 경계의 만남과 확장을 시도하고자 한다”라며, “예술 창조 의지가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과 어떻게 대립 혹은 융합하는가에 대해 흥미로운 탐구와 체험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강원도의회 박윤미 도의원, 우두동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미흡’ 강력 질타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박윤미 의원은 5일 열린 강원개발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춘천 우두동 도시개발사업의 타당성 검토 결과 ‘미흡’ 판정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제기했다.박 의원은 “지방공기업평가원에서 최근 완료한 타당성 검토 결과, 해당 사업이 경제성·재무성 측면에서 모두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이 상태로는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순현재

시민과 함께한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일생활 균형 저출생 대응 공감대 형성

[뉴스스텝] 천안시는 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을 열고 일생활 균형을 통한 저출생 대응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번 포럼은 시민과 정책수요자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란? – 일·생활, 출생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전문가 발표와 기업 사례 공유, 시민과 패널이 함께하는 자유토론으로 진행됐다.이지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일·가정 양립 정책의

제주콘텐츠진흥원, 나도 웹툰 작가가 되어볼까? AI로 만드는 웹툰 창작 참가자 모집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콘텐츠진흥원(원장 강민부)은 제주지역 콘텐츠 창작 생태계 확장을 위해 ‘AI와 함께하는 웹툰 창작 인큐베이팅 클래스’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교육은 생성형 AI 도구를 기반으로 한 실습 중심 교육으로, 웹툰 스토리 기획, 시나리오 제작, 이미지 생성, 일관된 캐릭터 스타일링, 포토샵 편집 과정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됐다. 참가자는 챗GPT(ChatGPT), 미드저니(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