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예술가 프리다 칼로의 파란만장한 생애 그린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 11월 6일 개봉 확정! 메인 포스터 대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8 17:35:11
  • -
  • +
  • 인쇄
▲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 포스터

[뉴스스텝] 멕시코가 낳은 혁명적인 예술가이자 팝의 아이콘 그리고 모든 여성의 상징으로 불리는 프리다 칼로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그린 다큐멘터리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가 11월6일 개봉을 확정하고 메인 포스터를 공개했다.[감독: 조반니 트로일로 Ι 수입·배급: 일미디어]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최고의 화가들과 미술관을 다룬 명품 4K 다큐멘터리 “세기의 천재 미술가 세계의 미술관” 시리즈의 일곱 번째 이야기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가 메인 포스터를 공개했다.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는 프리다의 예술 작품뿐만 아니라 그녀가 생존했을 당시 다양한 사진과 옷 그리고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 소지품 등을 비롯해 선인장, 원숭이, 사슴, 앵무새 사이의 멕시코 심장부에서 프리다를 찾아 떠나는 다큐멘터리이다.

단독 인터뷰, 시대적 기록 영상과 1931년 남편이자 화가인 디에고 리베라와 함께 있는 자화상부터 1939년 작 “두 명의 프리다”, “부서진 기둥”, “부상당한 사슴”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가장 유명한 회화들이 포함된다.

공개된 메인 포스터는 프리다 칼로가 화려한 장신구와 귀걸이 그리고 머리에 꽃으로 장식된 리본을 하고 하얀 꽃을 배경으로 다소곳이 앉아 있는 모습이 흡사 살아 있는 듯 강렬한 인상을 안겨준다.

“극심한 고통과 사랑에 괴로워하던 예술가 그러나 아이콘이 된 독립적인 여성”이라는 카피에서 알 수 있듯이 프리다는 여섯 살 때 소아마비를 앓았고 열여덟 살 때 버스와 전차가 부딪히면서 치명상을 입었다.

그녀의 옆구리를 뚫고 들어간 강철봉이 척추와 골반을 관통해 허벅지로 빠져나왔고 소아마비로 불편했던 오른발은 짓이겨져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기적이었으며 죽을 때까지 극심한 고통을 견뎌낸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는 두 가지 영혼을 강조하는데 현대 페미니즘의 아이콘이자 상징이고, 다른 한 영혼은 고문받는 신체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예술가이다.

이탈리아 출신의 배우이자 감독인 아시아 아르젠토가 스페셜 게스트로 출연하여 그녀의 말과 편지, 일기, 사적인 고백으로 구성된 공통된 주제를 따라가며 이 화가의 두 얼굴을 발견하도록 관객들을 안내한다.

또한 프리다의 작업이 전통적인 19세기 제대화인 멕시코의 '레타블로'에서 유래됐을 뿐만 아니라 평생의 동반자였던 디에고 리베라에서 트로츠키에 이르기까지 당시 남성들의 예술과 헌신에서 유래됐음을 알게 될 것이며 이러한 그림들을 통해 고통과 쾌락, 어둠과 빛, 달과 태양, 죽음 속의 삶과 삶 속의 죽음 등과 같은 반대된 것들의 진정한 의미를 탐구한다.

따라서 프리다 칼로의 삶을 되짚어보는 것은 그녀의 삶에서 사건을 표시하는 고통과 예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 사이의 접점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프리다 칼로 박물관의 기록보관소에 보관되어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 프리다의 사진, 옷 및 기타 개인 소지품을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며, 2004년 프리다의 욕실 개장 당시 그라시엘라 이투르비데가 촬영한 사진의 원본도 선보인다.

또한 이 다큐멘터리에는 멕시코 시티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3대 박물관 중 하나인 프리다 칼로 박물관과 아나우아칼리 박물관의 관장을 맡고 있는 힐다 트루히요가 출연하며 멕시코 사진작가 그라시엘라 이투르비데(Graciela Iturbide),

우연히 미니어처를 그리면서 예술가가 된 석공이자 노동자 알프레도 빌키스(Alfredo Vilchis), 프리다의 조카딸인 사진작가 크리스티나 칼로(Cristina Kahlo), 웰즐리 칼리지 미술 교사이자 데이비스 박물관의 라틴 아메리카 미술 보조 큐레이터인 제임스 올레스(James Oles),

프리다 칼로 박물관, 디에고 리베라 아나우아칼리 박물관, 돌로레스 올메도 박물관의 관리 이사인 칼로스 필립스(Carlos Phillips), 댄서 로라 바르가스(Laura Vargas) 등을 통해 프리다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한다.

멕시코의 초현실주의 화가인 프리다는 자신이 죽기 전 붓을 들고 짧은 문장을 썼는데 스페인어로 “비바 라 비다” 즉 “삶이여 영원하라!”라는 명언을 남겼다. 그 의미를 담은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는 오는 11월 6일 개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군위군의회 장철식 의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파크골프장체계적 운영 확립 방안 마련' 5분 발언

[뉴스스텝] 대구광역시 군위군의회 장철식 의원이 제29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파크골프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관광·경제·복지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설”이라며, 군위군 파크골프장의 체계적인 운영과 제도적 기반 마련을 촉구했다.이어 그는 현재 읍·면별로 운영되는 파크골프장이 이용시간, 요금체계 등에서 제각각이라며, 네 가지 개선 과제를 제시했다.첫째, ‘가칭

울산교육청-지방공무원노동조합연대, 상반기 노사협의회 합의문 서명

[뉴스스텝] 울산광역시교육청은 8일 지방공무원노동조합연대 4개 단체와 ‘2025년 상반기 노사협의회 합의문’에 서명했다. 울산교육청은 노동조합연대와 체결한 단체협약에 따라 노사협의회를 해마다 열고 있으며, 올해는 5월 28일 사전협의를 시작으로 네 차례 실무협의를 진행해 요구안 34건 가운데 23건을 합의하는 성과를 냈다.이번 협의회에서는 행정실 직원 결원 시 대체인력 자문 지원, 부정당업자 제재 업무처리

비도 막지 못한 열기…의정부 민락맥주축제 시민 발길 북적

[뉴스스텝] 의정부시는 9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민락2지구 로데오거리 광장에서 열린 ‘민락맥주축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특히 6일은 비가 내리는 가운데서도 많은 시민들이 행사장을 찾아 의정부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번 행사는 지역 상권 활성화와 주민 화합을 도모하고자 민락2지구상가번영회와 의정부도시공사 상권진흥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시와 농협이 후원해 진행됐다. 축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