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제8회 어린이 교통안전 창작 그림공모전'시상식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5 17:30:23
  • -
  • +
  • 인쇄
그림공모전 총 1,005건 접수돼 대구 초등학생들 뜨거운 호응
▲ 대구시 '제8회 어린이 교통안전 창작 그림공모전'시상식 개최

[뉴스스텝] 대구광역시 교통연수원은 6월 13일 오후 3시 연수원 소강당에서 ‘제8회 어린이 교통안전 창작 그림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5월 12일부터 16일까지 어린이 교통안전과 관련된 소재로 (부제: ①나와 우리 가족이 함께 지키는 어린이 교통안전! ②보행사고 예방) 어린이들에게 교통안전에 대한 안전의식을 높이고, 교통안전의 중요성을 일깨워줌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을 줄여 성숙한 교통문화 정착을 목표로 시행됐다.

접수된 1,005건의 출품작 중 대구미술협회 현직 작가의 공정한 심사를 거친 60점의 작품이 선정됐고, 그 중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일단 멈춰! 조연우(신성초), ‘어린이보호구역’ 배주안(용계초),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주의’ 박정준(대청초), ‘불쑥~ 불쑥~ 튀어나오지 마세요’ 성연우(성동초) 어린이가 시장상을 수상했다.

이밖에 안전한 등하굣길을 창의적으로 표현한 어린이들이 교육감상(대구시교육청/8명), 경찰청장상(대구시경찰청/8명), 교통안전상(손해보험협회 동부지역본부/20명), 교통창의력상(대구시교통연수원/20명)을 수상하며 상패와 상품 등을 함께 수여 받았다.

공모전의 심사위원장은 “순수한 어린이 작품에 주안점을 두고 심사했으며, 동심이 가득한 교통안전에 관한 창의성 높은 작품들이 대거 출품돼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심사였고, 심사숙고하여 60작품을 선정했다. 좀 더 수상자를 많이 선발해 대구 초등학생들의 사기 진작에 긍정적 효과가 극대화됐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본다”고 훈훈한 심사평을 남겼다.

김지민 대구어린이교통랜드 소장은 “제8회를 맞은 ‘어린이 교통안전 창작 그림공모전’은 대구 초등학생들의 대표적인 그림 공모전으로 자리매김했다. 수채화, 크레파스, 웹툰 방식 등 다양한 소재의 수준 높은 작품들을 출품해 주신 어린이들과 학부모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어린이가 행복하고 안전한 도시, 대구 완성’을 위하여 대구어린이교통랜드 또한 노력해 쇄신·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상작은 일반 시민들이 함께 관람할 수 있도록 6월 13일부터 관내 다중집합장소에 전시돼 ‘교통안전 의식 개선’에 값진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해시‘돌봄시설 잠복결핵 감염자 치료 철저’당부

[뉴스스텝] 우리나라 결핵환자 수가 2024년 기준 1만 7944명으로, 결핵 발생률이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했다. 동해시의 지난해 신규 결핵환자는 58명이며, 결핵환자 접촉자 검사 및 병역 판정검사 등으로 나타난 잠복결핵 감염자는 64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4명이 잠복결핵 치료를 시작하거나 완료했고, 약물치료를 거부한 대상자 중 48명은 1년 동안 3개월 마다 추적관찰을 해왔다. 잠복결핵은 체

봉화군 청량산박물관, 2025년 박물관대학 개강

[뉴스스텝] 청량산박물관은 지난 3일 2025년 박물관대학 개강식을 열고 본격적인 교육과정을 시작했다. 올해 박물관대학의 교육과정은 봉화의 역사・고고・민속 등 지역 문화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교육은 오는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봉화읍 청소년센터 2층 세미나실에 진행된다. 총 8회에 걸친 이번 교육에는 실내 강의뿐 아니라 현장 답사 일정도 포함되어 있어 더욱 알차고 풍성한 프로그램

고창원광어린이집 원아, 시장놀이 수익금 101만원 장학금기탁

[뉴스스텝] 고창원광어린이집 원장과 원아들이 지난 8일 고창군청을 찾아 101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하며 고창군 학생들의 미래를 응원했다. 장학금은 어린이집 원아들이 직접 참여한 ‘시장놀이’ 활동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나눔과 배려의 가치를 실천하는 뜻깊은 기부로 이어졌다.김공임 고창원광어린이집 원장은 “아이들과 함께 즐겁게 진행한 활동이 지역 학생들을 돕는 의미 있는 나눔으로 이어져 기쁘다”라며 “작지만 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