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의궤 속 궁중연향 ‘창덕궁 후원 연경당 진작례’ 복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7 17:20:43
  • -
  • +
  • 인쇄
순원왕후 40세 맞아 효명세자가 준비한 왕실잔치 ‘연경당 진작례’ 전 과정 복원 공연
▲ 연경당 진작례 공연(‘23.5.9.)

[뉴스스텝]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소장 이명선)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소장 안덕기)와 함께 9월 4일과 5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창덕궁 후원 연경당(서울 종로구)에서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복원 공연을 개최한다.

‘진작례’란 왕실의 특별한 날에 신하들이 임금에게 술과 음식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 의식이다.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는 1828년(순조 무자년) 음력 6월,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가 모친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40세 탄신을 축하하기 위하여 연경당에서 마련한 왕실잔치다.

진작례 복원 공연은 한국예술종합학교 허영일 명예교수(전(前) 세계민족무용연구소장)와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연구원들이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의 문헌기록을 학술적으로 고증하여 복원한 전통 의례로, 실제 진작례가 거행됐던 창덕궁 연경당에서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과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의궤의 유·무형의 가치가 융합된 전통문화 콘텐츠로서 역사적 장소성과 사료적 가치를 강조하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매년 새롭게 복원한 춤, 음악, 복식, 음식, 의물 등을 추가하여 선보이고 있으며, 올해는 효명세자의 초상화(익종어진)를 바탕으로 복원한 효명세자의 면복을 무대에서 처음으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번 공연은 연경당에서 행해진 진작례의 전 과정(궁중정재 17종목)을 복원한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은 공연이 될 것이다.

이번 공연은 창덕궁 후원을 방문하는 관람객이면 누구나 무료로(후원 입장료 별도)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학술연구와 고증자료를 바탕으로 한 이번 전통 의례 공연이 국민에게 더욱 친숙하게 궁중연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궁궐이 지닌 역사·문화적 가치를 온 국민이 함께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업하는 등의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영양교육지원청, '2025 행복한 아버지학교 연수' 통해 학부모 교육 실시

[뉴스스텝] 경상북도영양교육지원청은 9월 15일 19시 영양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관내 초・중・고 희망 학부모를 대상으로 '2025 행복한 아버지학교 연수'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는 9월 15일, 9월 22일 2일 동안 총 4시간으로 진행한다. 이번 연수는 학교와 학부모 간의 교류 활성화를 지원하고 자녀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및 자녀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했다. 그리고 학부모의

금천구의회, 제257회 임시회 마무리…추경 의결·민생현안 대응 촉구

[뉴스스텝] 서울특별시 금천구의회는 15일 제25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13일간의 임시회 의사일정을 모두 마무리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친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해 총 32건의 안건이 최종 의결됐다. 본회의에 앞서 엄샛별 의원이 홈플러스 시흥점 폐점과 관련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주민 생활 안전망이 붕괴될 중대한 사안”이라며 금천구청의 적극적이고

아산시의회 탄소중립특위, 종이 없는 친환경 회의로 탄소중립 사업 업무보고 청취

[뉴스스텝] 아산시의회 ‘아산시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원회’는 15일 오후 2시 의회운영위원회 회의실에서 종이 없는 친환경 회의 방식으로 탄소중립 관련 주요 사업 추진 현황을 보고 받고 향후 방향을 논의했다.특별위원회는 김미영 위원장을 비롯해 김미성 부위원장, 윤원준 의원, 김희영 의원, 김은복 의원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날 회의에서 각 부서의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