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음주·흡연 멀리하고 걷는 도민 늘었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5 17:05:02
  • -
  • +
  • 인쇄
도,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최신 통계 기반 정책 수립 박차
▲ 충남도청

[뉴스스텝] 충남도는 음주와 흡연은 멀리하고, 걷기를 실천하는 도민은 증가하는 등 지역사회건강지표가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요 13개 지표 중 △현재 흡연율 △남자 현재 흡연율 △월간 음주율 △고위험 음주율 △걷기 실천율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 △당뇨병 진단율 △당뇨병 약물치료율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인지율 10개 지표가 개선됐다.

현재 흡연율은 20.3%로 전년 대비 1.9%p, 남자 흡연율은 35.0%로 4.8%p, 월간 음주율은 57.3%로 1.1%p, 고위험 음주율은 13.4%로 0.6%p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현재 흡연율은 1.4%p, 남자 흡연율은 1.0%p 높았고, 월간 음주율은 전국 평균 보다 1.0%p 낮았으나 고위험 음주율은 0.8%p 높았다.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3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한 사람의 비율인 걷기 실천율은 전년 대비 8.2%p 늘어난 54.7%로 전국 평균 49.7%를 훨씬 웃돌았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9.5%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고, 치료율은 94.7%로 1.5%p 상승했다.

우울감 경험률은 7.6%로 0.7%p 스트레스 인지율은 24.6%로 3.1%p 감소했으며, 어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71.5%로 0.9%p 증가했다.

반면, △자가보고 비만율(35.6%, 1.2%p↑) △고혈압진단경험률(23.1%, 1.1%p↑) △고혈압 치료율(92.3%, 0.4%p↓) 등 3개 항목은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라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정책 및 사업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강생활실천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도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보건사업을 지속 확대 운영한다.

이동유 도 보건복지국장은 “지난해 6개 지표 개선에서 올해는 주요 지표 대부분이 개선된 것을 보면 도민의 건강인식과 실천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지역간 건강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19세 이상 도민 1만 4335명(보건소별 900명 내외)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나주시,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로 행정 디지털 전환 가속

[뉴스스텝] 전라남도 나주시가 디지털 트윈 국토 기반의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를 적극 도입해 민원 상담 시간을 줄이고 업무 효율을 높이는 등 행정 디지털 전환의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디지털 트윈’이란 도시와 시설의 모습을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구현해 정책 시행 전에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14일 나주시에 따르면 이날 국토교통부 관계자

고양시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 '사랑담은 김장김치' 나눔

[뉴스스텝] 고양특례시 덕양구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는 지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화정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랑담은 김장 김치’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이날 행사는 지역 내 소외된 이웃에게 따뜻한 나눔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화정1동 새마을부녀회와 통장협의회를 비롯한 직능단체 회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정성껏 김장 김치 300포기를 담갔다. 완성된 김치는 화정1동 저소득 및 경로당에 직접 전달됐다

광명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 개최…소통과 배움의 장 열어

[뉴스스텝] 광명시는 14일 작은도서관 운영자와 자원봉사자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제13회 작은도서관 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쳤다.‘작은도서관 학교’는 운영진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동기를 부여해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직무·소양 교육으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했다.교육 과정은 작게 시작해서 크게 이끄는 작은도서관 리더십 작은도서관과 인문학: 소통인문학 쉽게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