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2024년도 가축통계조사 결과 발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3 16:35:23
  • -
  • +
  • 인쇄
주요 가축 사육두수 증감 분석…한우·돼지 감소 및 닭 증가
▲ 제주도, 2024년도 가축통계조사 결과 발표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는 2024년 가축통계 조사(2024년 12월 1일 기준) 결과, 닭과 젖소 사육은 증가한 반면, 주요 축종인 한·육우와 돼지 사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사육두수는 3만 8,456마리로 전년 3만 8,978마리에 비해 522마리(△1.3%) 감소했다. 돼지는 51만 9,209마리로 전년 54만 3,540마리에 비해 2만 4,331마리(△4.5%) 줄었다.

이는 사료비 상승에 따른 경영비 증가와 2022년 이후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농가의 사육 의지가 감소한 결과로 분석된다.

육우는 801마리로 전년 1,076마리 대비 275마리(△25.6%) 감소했다.

이는 고급육인 한우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육우를 한우로 대체 사육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젖소는 4,149마리로 전년 3,972마리 대비 177마리(4.5%) 증가했다.

저지종 도입으로 프리미엄 우유가 출시되면서 유가공업체의 집유량이 늘어나 농가에서 사육두수를 늘린 것으로 판단된다.

닭 사육수수는 186만 수로 전년 181만 6,000수 대비 4만 4,000수(2.4%)가 증가했다. 전년보다 계란 가격이 상승해 산란계 사육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다.

꿀벌은 5만 6,678군으로 전년 6만 3,142군 대비 6,464군(△10.2%)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밀원수 개화시기 변화로 꿀 생산량이 감소하고 여왕벌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규모 농가의 생산비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타 가축으로는 오리 3농가·595마리, 염소 44농가·3,937마리, 면양 7농가·113마리, 사슴 15농가·277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제주도는 가축 통계조사 결과를 토대로 조수입 분석, 축산정책 수립 등 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