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 부산 공식 방문… 미래지향적 문화·경제 교류 확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7 16:30:41
  • -
  • +
  • 인쇄
10월 17일 왕세녀를 비롯한 스웨덴 대표단 20여 명 부산 방문…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스웨덴 참전기념비, 부산현대미술관을 방문하며 역사·문화·예술 분야 교류 확대
▲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 부산 공식 방문… 미래지향적 문화·경제 교류 확대

[뉴스스텝] 부산시는 한국 방문 중인 스웨덴 빅토리아(Victoria) 왕세녀가 오늘(17일) 부산을 공식 방문한다고 밝혔다.

현 스웨덴 국왕 칼 구스타프 16세의 장녀이자 스웨덴 왕위계승 서열 1위인 빅토리아 왕세녀를 비롯해 스웨덴 대표단 20여 명이 함께 부산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은 한국전쟁 당시 인연을 맺은 양국의 우정을 기리고, 역사적 협력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분야 교류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이뤄진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스웨덴이 부산으로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이후, 부산과 스웨덴은 경제,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이어왔다.

이번 방문을 계기로 글로벌 허브도시를 지향하는 부산과 북유럽의 물류·교역 거점인 스웨덴 양국 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하고 미래지향적 교류를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단은 오늘(17일) 오전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태종대 소재)에서 열리는 스웨덴 야전병원 파견 75주년 기념식에 참석한다. 이후 박형준 시장과 함께 스웨덴 참전기념비(부산진구 소재)를 방문한 후, 박 시장 주재의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 부산 공식 방문 환영 오찬'에 참석할 예정이다.

오찬에는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와 박 시장을 비롯해 부산 소재 스웨덴 경제인, 영화계 인사 등 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후, 대표단은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스웨덴 작가 관련 전시를 관람한 후 미술계 인사와 함께하는 토크 프로그램에 참여할 예정이다.

대표단은 ▲추상미술 선구자인 스웨덴 출신 힐마 아프 클린트의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과 ▲2020년 백희나 작가가 우리나라 최초로 수상한 스웨덴의 알마상 관련 전시인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추모상(ALMA) 전시: 책과 그림이 앉은 자리》를 관람한다.

이후 힐마 아프 클린트 재단 최고 경영자(CEO), 부산 지역 미술계 학생 등이 참여하는 토크 프로그램을 통해 양국 간 문화·예술 교류의 폭을 넓히는 소통의 기회를 가진다.

박형준 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부산에 있는 스웨덴의 여러 기업들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라며, “더 많은 스웨덴 기업과 더 활발하게 미래를 함께 도모하길 기대한다. 오늘 이 만남이 부산과 스웨덴 간의 새로운 협력을 여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포항시 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최우수쉼터 평가…성평등가족부 장관상 수상

[뉴스스텝] 포항시는 지난 5일 서울 연세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청소년복지시설 운영성과 보고대회’에서 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가 최우수쉼터로 평가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성평등가족부는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쉼터를 대상으로 3년마다 시설환경·안전관리 등 6개 분야에 걸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총 134개 청소년쉼터가 대상이었다.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는 S등

창원특례시, 비수도권 특례시 제도 개선 논의의 장 마련

[뉴스스텝] 창원특례시는 6일 리베라컨벤션에서 비수도권 특례시가 직면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실질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창원시자치분권협의회가 주관하고 창원특례시가 주최했다. 인구감소와 제도적 한계로 인한 비수도권 특례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한 정책적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자성

보령시 식품안전관리 강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뉴스스텝] 보령시는 6일 보령시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16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식품위생법' 제33조에 따라 실시된 정기교육으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기본소양 및 직무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교육은 2025년 식품안전관리 정책 방향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운영 식품위생 감시 사례를 통한 소비자식품위생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