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음식산업 대전환 이끌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3 16:40:15
  • -
  • +
  • 인쇄
문화산업을 넘어 관광, 음식산업의 융합시대를 연다.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음식산업 대전환 이끌어

[뉴스스텝] 2024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탈춤의 스토리를 소재로 한 음식산업으로 새로운 획을 긋고 있다.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개최되는 축제는, 엿새 동안 88만여 명이 다녀가는 등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번 축제에서 유난히 두드러지는 것은 역대 최대 규모의 해외 공연단과 착한 가격을 내세운 탈춤 축제 음식이다. 이런 색다른 시도들로 현재까지 축제 역사상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리고 있다.

특히 올해 축제에서 첫선을 보이는 음식산업이 눈에 확 띈다. 지역에서 생산한 농특산물을 활용하면서 탈춤의 스토리를 음식 콘텐츠로 만들어 축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다. 축제음식산업이 관광객 모객에 일조하는 시너지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이 축제장을 찾게 만드는 전략적 요소가 된 셈이다.

축제장 음식문화 변화의 첫 시작에는, 축제를 준비하는 안동시, 한국정신문화재단과 ㈜더본코리아가 머리를 맞댔다. 컨설팅을 통해 탈춤 축제만의 음식을 개발하고, 합리적이고 저렴한 먹거리 가격으로 축제장 내 바가지요금을 근절해 축제장을 찾는 시민과 관광객이 부담 없이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이를테면 하회별신굿탈놀이에서 백정이 관객에게 파는 염통을 스토리텔링해 염통꼬치라는 축제 먹거리로 탄생시켰다. 또 안동특산물로 유명한 안동간고등어를 이용한 고등어 김밥 부스에는 기다리는 줄이 50m가 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축제장에는 더본존 부스, 야간포차, 스낵바, 푸드트럭 등 60여 개 음식부스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축제를 하면 외부인이 다 벌어간다’라는 틀을 깨고자, 36개 더본존(백종원존) 부스 가운데 4개 부스를 제외하고 대부분 안동 시민이 운영하면서 수익을 가져가는 음식판의 ‘지도’를 바꾸는 데 집중했다. 축제가 끝나더라도 더본존에서 운영했던 레시피는 고스란히 시민의 몫으로 남아있다는 것도 하나의 성공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축제는 문화적인 측면을 뛰어넘어 관광과 음식 등 모두를 아울러야 성공할 수 있다는 안동시의 철학을 담았다”라며 “문화산업, 관광산업, 음식산업이 융합된 축제의 모델을 만들어 앞으로도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매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홍천교육지원청,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홍천교육지원청은 11월 6일 교육지원청 소회의실에서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운영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로, 각급 학교 건의 사항에 대한 부서별 검토 및 논의가 이루어졌다. 홍천교육지원청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학교 현장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내실

강원도의회 김기하 의원 (교육위) AI를 포함한 디지털 분야 진로교육 다양화 해야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직속기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가 6일 오전 진로교육원과 국제교육원을 필두로 실시됐다. 김기하 의원(국민의힘, 동해2)은 진로교육원에 대한 행감질의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AI, 반도체 분야에 대한 강원학생들의 진로 탐색 확대 필요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미래 여러 직업군이 AI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에 대

경북교육청, 교육부와 함께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 실시

[뉴스스텝] 경북교육청은 6일, 교육부와 함께 김천시에 있는 운남중학교를 방문해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과학실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경북교육청과 교육부 담당자와 학교 관리자, 과학실 담당 교사 등이 함께 참여해 과학실 내부 시설과 안전 장비를 직접 확인하며 진행됐다. 주요 점검 항목은 △안전관리계획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