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토요일 석촌호수의 가을밤 만나요! ‘송파낭만다방’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1 16:45:13
  • -
  • +
  • 인쇄
10월 5일 17시부터 석촌호수 서호 수변무대서 가족페스티벌 행사 열려
▲ 포스터

[뉴스스텝] 송파구는 오는 5일 17시부터 석촌호수 서호 수변무대에서 가족 페스티벌 ‘2024 송파낭만다방’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송파낭만다방’은 라디오 야외 공개방송 콘셉트의 가족 페스티벌로 미리 접수받은 구민들의 사연을 소개하고, 신청곡을 들려주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송파여성문화회관 문화봉사단과 지역예술인이 함께한다.

특히, 올해는 더 많은 구민들에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고자 매년 오금공원에서 소규모로 개최하던 ‘낭만다방’을 석촌호수로 무대를 옮겼다.

본 공연은 석촌호수 서호 수변무대에서 17시부터 시작한다. “송파에서 경험한 사랑, 설레임, 첫 만남”을 주제로 사연 신청을 받아 그 중 선정된 구민들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이어지는 가수의 노래로 위로와 사랑을 전하는 낭만적인 음악 공연이 펼쳐진다.

수변무대에는 사연을 보낸 선착순 30팀 가족을 초청하여 방석, 야광봉, 팝콘, 커피 쿠폰 등을 제공하고, 가을밤 야외 콘서트에 온 듯한 느낌을 연출하여 사연 신청자들과 방문객 모두에게 이색적인 추억의 시간을 선사한다.

사전공연으로 16시 30분부터 송파여성문화회관 문화봉사단의 String S, 헤르츠, 뮤즈오케스트라가 주제와 어울리는 멋진 연주를 선보인다.

초청 가수는 ▲호소력 짙은 보컬을 자랑하는 ‘신용재’가 출연하여 가을밤에 어울리는 감성 공연을 선사하고, 이어서 ▲경찰교향악단 ▲소프라노 오은경 ▲소프라노 김서영 ▲테너 민현기 ▲바리톤 김봉중 등이 출연해 주민들에게 마음의 휴식을 선물하는 가을의 소리가 울려 퍼질 예정이다.

석촌호수 아뜰리에 인근 수변무대 입구에서는 다양한 체험행사도 마련했다. 16시부터 ‘송파구의 힐링 스팟’, ‘나만의 레시피’ 등 구민들이 직접 작성한 메시지를 담은 캡슐 뽑기인 ▲나만의 낭만 저장소를 운영하고, 송파여성문화회관 문화봉사단에서 ▲네일아트와 ▲한글서예 등을 운영하여 석촌호수 방문객들에게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준비했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구민들의 추억이 담긴 사연과 음악이 함께하는 송파낭만다방을 통해 깊어가는 가을밤 정취를 만끽하며 힐링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구민 누구나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문화와 예술이 흐르는 도시 송파’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통영시드림스타트,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뉴스스텝] 통영시드림스타트는 보건복지부 주관‘2025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운영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25일 밝혔다.이번 평가는 보건복지부 평가운영위원회에서 조직구성․관리, 통합사례관리, 지역사회 협력, 만족도 등 4개 분야 10개 영역 28개 지표에 대한 평가 결과와 우수사례관리 경진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16개 우수기관을 선정했으며, 도내에서는 통영시와

봉화솔향로타리클럽 소외계층을 위한 이불나눔 실천

[뉴스스텝] 국제로타리 3630지구 봉화솔향로타리클럽(회장 윤정희)은 11월 24일 (사)봉화군종합자원봉사센터에 지역 내 소외계층 어르신 및 어린이들을 위한 “이불 50세트(300만원 상당)”를 전달했다.이번 물품 전달은 관내 취약가구에 다가오는 겨울을 보다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클럽 회원 30명이 정성을 모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봉화솔향로타리클럽은 ‘초아의 봉사’ 이념 아래 꾸준한 나눔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 ‘금릉 금빛 시선’ 특별전 인기 몰이

[뉴스스텝]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에서 열리는 금릉 금빛 시선 특별전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5일 박물관에 따르면 9월 30일 개막 이후 방문객 수가 급증하며 현재까지 1만5,317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이번 특별전은 100년 전 김해의 사진자료와 시를 통해 과거 문화유산과 현재 문화유산을 재조명해 김해지역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기획했다. 전시는 100년 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쓰가 촬영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