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공공공간 아츠 페스티벌〉 축제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9 16:25:23
  • -
  • +
  • 인쇄
숲과 공간을 탐색한 일상과 결합된 예술 축제, 순환성(Circularity) 주제로 진행
▲ 초대 리타이틀

[뉴스스텝] 경기문화재단은 오는 10월 11일과 12일 양일간 경기상상캠퍼스에서 〈공공공간 아츠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9월 20일부터 4주간 주말마다 이어진 전시와 워크숍·체험 프로그램의 대미를 장식하며, 캠퍼스 전역에서 다채로운 공연과 참여형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올해 페스티벌 주제는 ‘순환성(Circularity)’으로, 경기상상캠퍼스의 숲과 문화공간을 탐색하며,인간과 비인간, 예술가와 비예술가를 연결되고 공존하는 의미를 나누는 자리로 기획됐다. 참여 단체들은 사전 리서치를 통해 캠퍼스 공간에 맞는 작품을 재해석하여 선보이며, 관객은 체험형 전시와 워크숍, 공연을 통해 축제의 현장을 함께 만들어간다.

▷ 버티컬댄스, 이동형 공연, 힙합 등
▲사색의 동산에서는 서커스, 비눗방울, 음악공연이 야외 전시 〈유물들〉과 함께 펼쳐지고, 기존에 실내 전시됐던 〈우리 나무들의 집〉이 야외 포퍼먼스로 재구성된다. 또한 ▲생생1990•교육1964•공작1967 일대에서는 건물 외벽, 공간 사이, 복도, 계단 등 일상적 건축공간을 무대로 확장하여 다채로운 공연이 이어진다. 공중 퍼포먼스 〈나무의자〉, 관객이 참여하는 〈다함께 힙합〉, 현대무용 〈초대〉, 그리고 이동형 공연 〈잉여의 도시〉와 〈씨씨씨씨씨(Five Seeds)〉이 포함되어 관객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 다람쥐택시, 감자전, 족욕 등 일상적 체험
이 축제에서는 일상적 행위가 집단적 체험으로 확장되며 축제의 장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네 명이 타야 움직이는 무탄소 택시 〈다람쥐택시〉, ▲마임과 서커스, 즉흥시 낭송, 족욕과 차 한잔이 어우러지는 감각적 놀이 〈몸짓으로 풀어풀어〉, ▲감자 재배와 수확의 과정을 관객과 공유하며 감자전을 함께 만드는 참여형 퍼포먼스 〈감자전 3막〉이 진행된다. 특히 ▲〈1/4평의 자리〉에서는 삶을 채우는 일과 노동,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관객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연으로, 이번 축제가 전하고자 메세지를 상징적으로 담아낸다.

경기문화재단은 “이번 〈공공공간 아츠 페스티벌〉을 통해 경기상상캠퍼스 곳곳을 예술로 탐색하며, 다양한 공공공간 예술(Arts in Public Space)을 선보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하며 “대중에게 쉽게 접근, 참여형 축제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참여 방법은 경기상상캠퍼스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영광군수, 산물벼 매입 현장 찾아 농업인 격려

[뉴스스텝] 영광군은 추곡 수매 기간을 맞아 지난 13일 2025년산 산물벼를 매입하고 있는 영광RPC·백수RPC·서영광DSC 3개소를 방문하여 매입 관계자 및 농업인들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2025년산 벼 매입량은 공공비축미 7,882톤과 영광RPC 자체매입 29,276톤이고, 공공비축미 매입품종은 신동진과 새청무 2종, 영광RPC 자체 매입품종은 신동진, 새청무, 진상2호 3종이고,

수성구, ‘2025 제7회 수성구 청년축제’ 개최

[뉴스스텝] 대구 수성구는 오는 18일 수성못 상화동산 일대에서 ‘2025 제7회 수성구 청년축제’를 개최한다.‘OMZ(오늘 청춘 미치게 놀 준비됐나?)’를 슬로건으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대구·경북 7개 대학(경북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대학교)의 총학생회와 청년단체가 직접 참여해 기획한 청년 주도형 축제다.지난 6월 수성구는 7개 대학의 총학생회

인천아트플랫폼, '2025 플랫폼 오픈스튜디오' 개최

[뉴스스텝] 인천아트플랫폼은 오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2025 플랫폼 오픈스튜디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025년 입주 예술가들의 작업실을 시민에게 공개하는 자리로, 예술 창작의 과정을 가까이에서 체험하고 작가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올해 오픈스튜디오에서는 ‘인천 청년예술가 스튜디오 지원사업’에 선정된 10인의 입주작가와 국제교류작가 1인, 그리고 ‘2025 인천미술 올해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