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5미(味), 밀키트로 맛보세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1 16:26:06
  • -
  • +
  • 인쇄
참게탕, 흑돼지 석쇠구이 등 곡성5미 밀키트 인기
▲ 능이 닭곰탕

[뉴스스텝] 곡성군의 대표음식 ‘곡성5미’에는 참게매운탕과 은어튀김(곡성1미), 석곡흑돼지 석쇠구이(곡성2미), 능이 닭곰탕(곡성3미), 토란탕(곡성4미), 곡성 깨비정식(곡성5미)이 있다.

곡성을 방문하는 식도락객 사이에서는 오래전부터 곡성에서만 맛볼 수 있는 최고의 요리로 손꼽혔다. 이제는 곡성5미를 직접 식당을 방문하지 않고도 밀키트로 곡성의 일품요리를 즐길 수 있으며, 곡성을 방문하는 캠핑객들은 밀키트로 간편하게 요리를 해서 곡성5미를 맛보고 있다.

곡성의 일품요리가 밀키트로 새로운 인기를 끌고 있다. 곡성참게탕(곡성1味)은 잘 말린 시래기를 넣고 들깨를 갈아 넣은 뒤 된장을 풀어 국물을 내고, 등껍질만 떼어내고 몸통부터 다리까지 아작아작 씹는 맛이 일품이다.

석곡흑돼지 석쇠구이(곡성2味)는 참숯에 직화로 구워내 부드러운 육질과 입맛을 당기는 훈제 향이 일품이다. 고추장과 매실, 꿀 등의 양념을 사용해 돼지고기의 누린내를 잡아내서 맛이 깔끔하다.

능이닭곰탕(곡성3味)은 생닭을 초벌로 끓인 뒤 국물을 비우고 다시 육수를 우려, 닭 고유의 비린내를 잡았다. 능이버섯 특유의 향과 맛이 어우러진 국물이 담백하면서도 시원하다.

토란들깨탕(곡성4味)은 곡성 대표 특산품인 토란을 활용한 음식으로, 구수한 들깨 향이 감도는 진한 국물과 부드러운 토란의 식감이 조화를 이룬다.

곡성 깨비정식 흑돼지 석쇠구이(곡성5味)는 곡성 홍보대사 강레오 셰프가 참여해 개발한 곡성 대표 먹거리다. 특제 간장소스로 양념된 흑돼지 구이와 부드러운 와사비 향이 감도는 아기멜론 물김치의 조합이 일품이다.

이밖에, 섬진강에서 직접 잡은 다슬기로 요리한 ‘다슬기 수제비’,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수제 떡볶이’와 ‘수제 떡갈비’, 대중 음식인 ‘감자탕’과 ‘갈비탕’, ‘해물철판볶음’도 밀키트로 만나볼 수 있다.

곡성군은 ‘곡성5미’에 이어 ‘곡성디저트 5미’도 개발한 바 있다. 멜론·토란 아이스크림(곡성디저트 1미), 토란 떡파이(곡성디저트 2미), 픽미칩(곡성디저트 3미), 토란만쥬(곡성디저트 4미), 토란칩(곡성디저트 5미) 등 지역특산품을 활용한 차별화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곡성에 가면 농촌 마을의 옛 정취를 느끼며, 맛있는 음식을 먹는 ‘식도락 여행’을 즐길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함평군, 민관 협력으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앞장선다

[뉴스스텝] 전남 함평군이 민간과 협력해 지역 내 취약계층을 돌보며 따뜻한 이웃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함평군은 지난 19일 함평군새마을회와 함께 독거노인, 장애인 가정, 조손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150가구를 대상으로 밑반찬을 전달하는 나눔 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활동에는 새마을부녀회원 30여 명이 참여해 정성껏 밑반찬을 만들었다. 특히, ‘책임 배송제’를 운영해 읍면별 새마을부녀회원들이 대상

부천시, 오정청년공간 연계 '대학명사 초청 강연회' 개최

[뉴스스텝] 부천시는 지난 19일 오정청년공간에서 청년 시민과 공무원이 함께하는 ‘대학명사 초청 강연회’를 열었다.이번 강연에는 부천대학교 반려동물과 김현주 교수가 강사로 나서, 반려동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돌봄 지식을 전달하고 건강한 반려 문화 확산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했다.강의는 반려견 MBTI 맞히기, 동물심리학 기반 행동 언어 이해, 보호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동물보호법 기초 등 실생활과 밀접한

제주시·영동군 주민자치협의회, 상생 교류의 장 열어

[뉴스스텝] 제주시 주민자치위원회협의회는 주민자치 역량 강화와 상생발전을 위해 19일 충북 영동군을 방문해 영동군 주민자치협의회와 뜻깊은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이번 방문은 지난 7월 제주시와 영동군 양 협의회가 우호 협력 증진과 공동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처음으로 이루어진 교류 자리로, 상호 간 주민자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양 협의회는 고향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