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일본 유행 질환 예방 차단 위한 위생 수칙 준수 당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7 16:25:28
  • -
  • +
  • 인쇄
일본 내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환자 증가 따른 관련 질환 주의 요망
▲ 포항시가 일본 내 STSS 환자 증가에 따른 관련 질환 예방을 위해 손씻기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뉴스스텝] 포항시는 최근 일본 내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가 증가하고 국내 일본 여행객도 급증함에 따라 해외여행객을 중심으로 주된 관련 질환인 성홍열 예방을 위한 철저한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가 발표한 STSS 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기간 환자 수가 줄었다가 2023년 941명으로 역대 최다 수치를 기록했고 올해 2월 말까지 414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STSS의 원인이 되는 A군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al)은 성홍열의 원인균으로 감염되면 초기에는 감기증상으로 시작해 중후반에는 저혈압, 빈맥, 호흡곤란, 피부괴사,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이 나타나며 치명률은 30%에서 70%으로 높다.

A군 연쇄상구균은 주로 점막이나 상처부위를 통한 접촉으로 전파되지만, 비말을 통해 호흡기로도 전파되므로 손 씻기, 기침예절 등 예방수칙 준수가 필요한 감염병이다.

‘STSS’는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는 드물고, 같은 원인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의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으나, STSS와 같은 원인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성홍열은 발생이나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고 격리가 필요한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해 감시하고 있다.

국내 성홍열 (의사) 환자는 2018년 1만 5,777명에서 코로나19 유행 이후 감소해 2022년 505명까지 줄었다가 지난해 810명 발생해 다소 늘었으며, 성홍열 감염에 의한 합병증은 2000년 이후 총 4건으로 이 중 STSS로 의심되는 사례는 2건이다.

김정임 남구보건소장은 “인플루엔자나 수두에 걸리면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65세 이상 고령층 및 최근 수술을 받아 상처가 있는 경우 백신접종을 받길 바란다”며,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필리핀 교원, 전북서 디지털 교육 역량 길러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필리핀 카비테주 디지털 분야 선도교원을 초청, 오는 30일까지 ‘2025 교류협력국 교원 초청 디지털 교육 연수’를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해 필리핀 교원의 AI 디지털 수업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한국과 필리핀 간 교육 협력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수에 참여한 필리핀 교원들은 △AI·로봇 기반 교수학습 체험 △스마트 교실

안성시 고삼면 새마을부녀회 '사랑의 어르신 생신 밥상 차려드리기' 행사 진행

[뉴스스텝] 9월 23일 안성시 고삼면 새마을부녀회는 지역 내 생신이 다가오는 1인가구 8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생신 밥상 차려드리기 행사를 진행했다.이번 행사에서는 부녀회원들이 정성으로 마련한 미역국, 밥, 불고기, 잡채, 전, 떡, 과일, 꽈리멸치볶음 등을 고삼면에서 홀로 생신을 맞이하는 30여 가구 어르신에게 직접 전달하며 행복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임은자 고삼면 새마을부녀회장은 “고삼면 새마

경기도의회 김재훈 의원, 여성폭력방지시설 종사자 명절수당 지급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김재훈 의원(국민의힘, 안양4)은 10일 열린 제386회 제2차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여성폭력방지시설 종사자들의 명절수당 미지급 문제를 지적하며 처우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김재훈 의원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중 여성폭력방지시설 종사자만 명절수당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피해자와 이주여성 피해자를 지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