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장춘진인 서유기’ 출간...칭기즈칸과 구처기의 역사적 만남을 소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19 16:05:53
  • -
  • +
  • 인쇄
▲ ‘장춘진인 서유기’ 표지

[뉴스스텝] 한반도선진화연구원의 이화영 이사가 번역한 ‘장춘진인 서유기’가 출간됐다.

‘장춘진인 서유기’는 13세기 몽골제국의 칭기즈칸과 중국 전진도(全眞道) 용문파(龍門派) 개조인 구처기(丘處機) 조사의 역사적인 만남을 소개한 책이다. 이 두 거인의 리더십과 처세술은 오늘날 우리가 교훈으로 삼고 본받아야 할 부분이 많다.

12~13세기 인류 역사에서 칭기즈칸이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크다. 그중 칭기즈칸과 구처기가 관련된 일화는 여러 나라에서 영화, 소설, 드라마 등으로 제작돼 ‘지살령(止殺領)’ 혹은 ‘일언지살(一言止殺)’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바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살인을 멈추라는 명령’을 내린 사람, 혹은 ‘말 한마디로 살육을 멈추라’고 한 사람이 바로 진인(眞人) 구장춘(丘長春)이다. 장춘은 그의 도호이고 이름은 구처기다.

이 책은 중국 도가(道家) 전진도 용문파의 시조인 구처기 조사가 칭기즈칸이 있는 서역으로 3만5000리 길을 이동하며 도를 전수하고 무차별적인 살육을 막은 내용을 서술한 것이다. 구처기는 당시 76세의 고령으로 21명의 제자들과 함께 풍찬노숙을 하면서 전쟁의 참혹상을 직접 경험했다.

칭기즈칸은 처음부터 고령의 도사를 순순히 만나주지 않았다. 칭기즈칸은 구처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미리 ‘5관(다섯 단계의 관문)’을 만들어놓고 그를 시험했다.

이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시작조차 하기도 힘든 난관이었지만, 구처기에게는 그저 조금 번거로운 일 정도였다. 5관을 통과하자 칭기즈칸은 구처기의 혜안과 경지를 인정하고 일 년간 곁에 두며 조언을 구하게 된다.

본서의 저자 왕역평(王力平)은 구처기가 개창한 용문파의 제18대 계승자다. 그는 당시 칭기즈칸과 구처기 조사 사이에 있었던 핵심적인 사실들이 역사의 기록에 빠져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에 8백년 동안 도문 내부에서 계승자에게만 전해진 역사의 비밀을 이제는 밝힐 시기가 도래했기에 본서를 집필했다고 말한다.

물론 구처기 조사의 여정과 칭기즈칸과의 만남에 대한 역사는 이미 여러 곳에 기록돼 있다. 구처기의 서행에 동행한 제자 이지상이 쓴 동명의 ‘장춘진인서유기’와 당시 칭기즈칸의 신하 야율초재가 저술한 ‘현풍경회록’, 그리고 몽골국의 역사책인 ‘몽골비사’ 등이다.

그러나 이런 기존 서적들은 두 사람 사이에 오고 간 가장 중요한 담화와 사건을 기록으로 남기지는 못했다. 용문파는 이러한 내용들을 제18대 계승자인 왕역평에 이르기까지 중단 없이 전승했으며, 현대에 이르러 마침내 본서에 담기게 됐다.

저자는 사서의 기록 속 ‘단지 생명을 지키는 길은 있지만 영원히 살 수 있는 약은 없다’는 구처기의 말 한마디에 어떻게 칭기즈칸은 단번에 깨달았을까, 칭기즈칸을 추살하라는 전진교의 명령은 사실인가, 산동에서 아프가니스탄까지는 직선거리로 몇천 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데 구처기가 우회한 이유는 무엇일까,

구처기 조사는 왜 금나라와 송나라의 초청을 거절하고 칭기즈칸에게 갔는가, 구처기 조사의 서행은 실제 21명인데 왜 사서에는 18명으로 기록됐나, 원나라 수도인 연경와 구처기 조사는 어떤 관계인가, 칭기즈칸의 묘지는 어디에 있는가 등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었던 질문들을 던진다.

또한 저자는 칭기즈칸의 리더십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칭기즈칸은 신분이나 직위, 성을 배제하고 오직 능력만으로 인재를 선발했고, 정복지에서도 이교도에게 핍박을 가하거나 특정 종교를 강요하지도 않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구처기는 인재를 알아보는 칭기즈칸의 능력에 감탄한다. 또한 그가 만든 ‘쿠릴타이’라는 지도자 선출시스템은 근대국가의 절차적 민주주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고 설명한다.

약 8백 년 세계의 정복자 칭기즈칸과 진인 구처기 조사, 두 지도자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 여성복지관, 2025년 제4기 사회교육강좌 수강생 모집

[뉴스스텝] 인천광역시 여성복지관은 오는 9월 19일부터 ‘2025년도 제4기 사회교육강좌’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10월 13일부터 12월 27일까지 진행되며, 전문기능과정, 실용·창업과정, 문화아카데미과정, 단기특강 등 총88개 강좌에서 1,608명을 모집한다. 강좌는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과 전문자격 취득을 아우르며 다양한 시민의 수요를 반영했다.특히 이번 기수에서는 신중년 교육지

울산시, 2025년 하반기 울산시민아카데미 개강

[뉴스스텝] 울산시는 오는 9월 18일 오후 2시 시청 본관 2층 대강당에서 열리는 첫 강연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 ‘2025년 울산시민아카데미’의 문을 연다.울산시민아카데미는 지난 2008년부터 이어진 울산의 대표적인 전문가 초청강연 프로그램으로, 상반기인 지난 4월에서 7월까지 총 4회에 걸쳐 ’2025년 시민아카데미‘를 개최됐다. 올해 하반기도 총 4회에 걸쳐 행복, 건강, 문화예술 등 다양한 주제로

주민이 제안하고 함께 만든 마포 가족운동회 열린다

[뉴스스텝] 가을 햇살이 한층 깊어지는 9월, 가족이 함께 뛰고 웃으며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자리가 마포에서 열린다.마포구는 9월 20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 염리생활체육관에서 ‘2025 마포 가족운동회’를 개최한다.이번 행사는 주민이 제안하고 함께 만든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구민들이 직접 제안하고 준비에 참여한 만큼 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마포구가족센터가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에는 마포구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