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중소기업육성자금 확대, 1분기 1,474억 원 지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5-02 15:55:28
  • -
  • +
  • 인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지원액 732억 원 증(98% ↑), 지원기업 수 139개 증(77% ↑)
▲ 강원도 중소기업육성자금 확대, 1분기 1,474억 원 지원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는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과 성장기반 마련을 위해 매년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전년과 동일한 3,530억 원 규모로 운용한다.

경영안정자금(운전자금) 2,580억 원, 창업및경쟁력강화자금(시설자금) 700억 원에 대해 도에서 2 ~3%p의 이자지원을 하고 있으며, 특수목적자금(운전·시설) 250억 원은 1.5%의 고정금리로 융자를 지원한다.

2024년 도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융자한도 상향, 자격 기준 완화, 자금 우대 기업 추가 등을 통해 수혜 기업을 확대하여 지원할 방침이다.

(융자한도 상향) 자금별 융자한도를 전년 대비 3억 원(’23년도 융자한도 + 3억 원), 기업 총 융자한도를 40억 원(30억 원 → 40억 원)으로 상향하여 개별 기업의 혜택을 확대하고, (상시근로자 수 기준 완화) 상시근로자 수 기준을 5인 이상으로 하향하여 소규모 기업도 지원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고, (제조업 전환기업 조건부 지원) 비제조업종 기업이 제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설 투자 시 사업자등록 전이라도 공장·설비 등의 마련을 전제로 시설자금을 조건부로 허용하여 원활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며, (금리 및 한도 우대기준 추가) ‘도내 청년 신규 정규직 채용 기업’, ‘상생결제 참여기업’을 경영안정자금 우대 기업에 추가하여, 이자지원율 2.5%(일반 2%), 융자한도 10억 원(일반 8억)으로 우대한다.

이 외에도 강원 중소기업대상 수상기업의 이자지원율 추가 우대 기간을 2년에서 4년으로 확대하여 도의 경제 발전을 주도하는 기업의 혜택을 확대한다.

'24년 1분기 지원액은 1,474억 7,400만 원으로 지난해 1분기(742억 7,800만 원)에 비해 대폭 증가(731억 9,600만 원)했다.

자금별로는 경영안정자금 1,064억 6,500만 원(41%), 창업및경쟁력강화자금 197억 2,200만 원(28%), 특수목적자금 212억 8,700만 원(85%)을 지원했다.

자금소진 시까지 신청·접수가 가능하나, 특수목적자금은 재해재난기업지원자금과 육아유연근무지원자금만 신청이 가능하다.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한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이자지원 및 저금리 융자 지원을 통해 고물가·고환율·고금리 상황 속에서도 중소기업의 든든한 지원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향후 자금 수요에 따라 규모 확대 등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 퇴임기 교원의 새로운 시작을 지원하는‘퇴임기 인생 2막 연수’ 운영

[뉴스스텝]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연수원은 10월 21일부터 29일까지 퇴임 3년을 앞둔 교원 및 교육전문직원 90명을 대상으로 ‘2025년 퇴임기 인생 2막 연수’를 운영한다.올해로 3년째를 맞은 이번 연수는 퇴임을 앞둔 교원의 인생 설계와 성찰을 돕는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2기로 나누어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재무설계, 자산관리, 공무원 연금·보험 이해, 건강 관리, AI시대의 새로운 인생기회, 퇴직 선배

광주광역시 서구아너스, 청소년과 떠나는 ‘교과서 밖 독도 역사여행’

[뉴스스텝] 광주광역시 서구의 고액 기부자 모임 ‘서구아너스’가 청소년들과 함께 독도로 ‘교과서 밖 역사여행’을 떠난다. 서구는 10월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서구아너스와 초‧중‧고등학생 30명으로 구성된 독도원정대가 21일부터 23일까지 2박3일의 일정으로 독도를 방문한다고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서구아너스가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교육문화 복지를 위해 기획한 사업으로 3300만원 규모의 경비 전액을

여주시 중앙동 제1회 청심문화축제 성황리에 개최

[뉴스스텝] 여주시 중앙동 축제추진위원회는 지난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세종시장 주치장 일원에서 ‘제1회 중앙동 청심문화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주민참여형 축제’로, 중앙동 각 기관단체와 상인, 주민이 한마음으로 준비해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됐다.이날 축제에는 마을별 주민 장기자랑을 비롯해 주민자치센터 공연, 체험부스, 먹거리 부스 등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