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를 기다리며' 박서준 X 원지안, 돌고 돌아 결국은 나의 첫사랑? 18년 동안의 이야기 담은 3차 티저 영상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0 15:25:42
  • -
  • +
  • 인쇄
▲ 사진 제공: JTBC 새 토일드라마 3차 티저 영상 캡처

[뉴스스텝] 박서준과 원지안이 돌고 돌아 또다시 서로와 마주한다.

오는 12월 6일(토) 밤 10시 40분에 첫 방송될 JTBC 새 토일드라마 ‘경도를 기다리며’(극본 유영아/ 연출 임현욱/ 제작 SLL, 아이엔, 글뫼)는 두 번의 연애를 하고 헤어진 이경도(박서준 분)와 서지우(원지안 분)가 불륜 스캔들 기사를 보도한 기자와 스캔들 주인공의 아내로 재회해 짠하고 찐하게 연애하는 로맨스.

싱그러운 청춘에 처음 서로를 만나 각자의 인생에 가장 큰 흔적을 남겼던 이경도와 서지우가 여러 삶의 풍파를 겪고 다시 만나 어떤 이야기를 쌓아갈지 시선이 쏠린다. 그런 가운데 그런 두 사람의 오랜 서사를 담은 3차 티저 영상이 공개돼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공개된 영상은 “만약에 내가 널 기다리면 넌 올 거야?”라는 서지우의 말로 시작돼 단숨에 몰입도를 높인다. 곧이어 풋풋했던 첫 만남의 순간부터 이별 후 아픔을 삼키며 상대를 잊으려 애쓰는 나날들까지 아련함 가득한 이들의 연애사가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시간이 흐른 뒤 마주한 둘에게서는 아직도 지워지지 않는 감정의 앙금이 남은 듯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십 년 전에 사라져서 지금 나타났는데 네가 하고 싶은 말은 기사 얘기야?”라며 섭섭함을 드러내는 서지우와 “그렇게 가버릴 거였으면 오지도 말았어야지”라며 울분을 터트리는 이경도의 복잡다단한 감정의 실타래가 호기심을 자아낸다.

여기에 둘만 있다면 남부러울 것 없이 환한 미소를 짓던 이경도와 서지우의 애틋한 사랑의 모습들이 되감기 돼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일렁이게 만든다. 몇 번을 반복해도 결국은 서로가 첫사랑임은 변함없는 이경도와 서지우의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 엿보인다.

이처럼 오래전 끝난 관계라 생각했지만 여전히 헤어지지 못하고 서로에게 깊게 얽혀있는 이경도와 서지우가 가진 사연이 궁금해지는 상황. 뜨겁고 치열하게 사랑했지만 아프게 이별하고 또다시 재회하게 될 그들에게는 또 어떤 일들이 펼쳐지게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올겨울 시청자들의 마음을 뒤흔들 박서준과 원지안의 조우는 오는 12월 6일(토) 밤 10시 40분에 첫 방송될 JTBC 새 토일드라마 ‘경도를 기다리며’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임창휘 의원, 전국 최초 ‘고립_은둔 청년’의 공동체 생활을 위한 주거 지원 조례안 상임위 통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임창휘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2)이 대표 발의한 고립ㆍ은둔 청년 등을 지원하기 위한 2건의 조례안이 11월 21일 도시환경위원회 심사를 통과했다.이번에 통과된 조례안은 '경기도 지원주택 공급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경기도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다. 이는 전국 최초로 고립ㆍ은둔 청년 등의 사

유치원 운영위기 대응...경기도의회 이호동 의원, 유아교육 진흥 조례 개정안 상임위 통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이호동 의원(국민의힘, 수원8)이 대표발의한「경기도교육청 유아교육 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21일 제387회 정례회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에서 가결됐다.이번 개정안은 최근 저출산 위기와 유보통합 등 급격한 변화로 유치원이 겪고 있는 운영 위기에 대응해, 유아교육 기회 확대와 학급당 적정 유아 수 확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최근 3년간 경기도에

경기도의회 이영주 의원, “레저를 넘어 생활 속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위한 조례 개정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영주 의원(국민의힘, 양주1)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11월 21일 건설교통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이영주 의원은 제안설명을 통해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장애인과 어린이 등 교통약자가 차별 없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자전거가 단순한 레저 수단을 넘어 통근·통학 등 생활 속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