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8월의 마지막 토요일, 청소년들의 뜨거운 여름을 마무리하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3 15:35:43
  • -
  • +
  • 인쇄
‘여름’을 주제로 한 부스 30팀, 공연 21팀 참여로 열축제 성황리 마무리
▲ 8월의 마지막 토요일, 청소년들의 뜨거운 여름을 마무리하다!

[뉴스스텝] 지난 8월 30일 평택시 청소년문화센터 앞 야외 주차장 일대에서 ‘2025 평택시남부청소년어울림마당 - 제23회 열축제’가 1천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평택시남부청소년어울림마당’은 청소년축제기획동아리 ‘10대기획단’(회장 김예성)이 주관해 운영하는 남부권역 청소년 대표 축제로, 매년 주제를 선정하고 부스와 공연팀을 모집하여 축제를 진행한다.

올해 열축제는 ‘여름’을 주제로 아이스팩 만들기, 여름이 담긴 책갈피 만들기 등의 다양한 30개 부스 활동과 댄스, 밴드 21개 팀의 공연을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부스팀으로 참여하여 청소년들에게 여름이 담긴 책갈피 만들기 체험을 제공한 낭만과 과다(신한고) 팀 장도현(신한고2) 청소년은 “날이 더워 처음에는 생각대로 진행되지 않아 어려웠지만, 체험하러 온 청소년들과 행사 운영진들 덕분에 재미있었다”라는 소감을 전했고, 같은 팀의 최연희(신한고2) 청소년은 “학교 친구들과 함께 부스를 운영하면서 잊지 못할 소중한 추억을 만들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열축제에서 멋진 댄스 공연을 보여준 현화고 ‘아이리스’ 임예원(현화고2) 청소년은 “팀원들과 함께 준비한 노력의 결과를 보여줄 수 있어서 뜻깊은 경험이었고, 앞으로도 더 많은 공연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여하여 즐거운 무대를 만들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열축제를 직접 주관하여 운영한 10대기획단 회장 김예성(평여고2) 청소년은 “회장이라는 자리와 총괄이라는 역할에 처음에는 부담감이 컸지만, 열축제를 운영하면서 동아리원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성장하는 좋은 기회가 됐다”라며 “부족하지만 회장을 잘 따라준 10대기획단 동아리원에게 고맙고, 열축제가 다른 청소년들에게 여름의 즐거운 추억으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라는 운영 소감을 전하며 열축제를 마무리했다.

청소년문화센터는 평택시에서 (재)평택시청소년재단에 위탁하여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재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활동을 운영 중이다. 오는 11월에는 평택시중학교학생회장단모임이 주관하여 운영하는 ‘놀자콘서트’를 준비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