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기억 지우개’ 김재중, 진세연에 와락 불꽃 포옹! 의사 진세연, 환자 김재중의 돌발허그에 ‘동공지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2 14:55:37
  • -
  • +
  • 인쇄
▲ [사진='나쁜 기억 지우개' 제공]

[뉴스스텝] MBN 금토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 김재중이 첫사랑 진세연에게 불꽃 포옹으로 간절한 사랑을 전하는 모습이 포착돼 이목을 집중시킨다.

8월 2일(금) 첫 방송하는 MBN 새 금토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연출 윤지훈, 김나영/극본 정은영/제작 스튜디오지담, 초록뱀미디어, 김종학프로덕션)는 기억지우개로 인생이 바뀐 남자와 그의 첫사랑이 되어버린 여자의 아슬아슬 첫사랑 조작 로맨스이다.

한국 드라마 전통의 거장 초록뱀미디어와 김종학프로덕션이 의기투합해 제작한 가운데 김재중, 진세연, 이종원, 양혜지가 캐스팅되어 기대를 모은다.

김재중은 기억지우개로 ‘자존감 최하’에서 '자존감 MAX, 자신감 MAX, 존재감 MAX'로 재 탄생되는 '이군' 역을 맡았다.

이군은 자신의 담당 의사 '경주연(진세연 역)'을 '첫사랑'으로 오인해 직진 순정남 면모를 뽐내 웃음을 자아내는 한편 진세연은 뇌 전문 천재 의사 ‘경주연 역’으로 이군의 ‘기억지우개’ 수술을 담당한 후 그의 ‘첫사랑’으로 각인되어, 이군의 직진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며 첫사랑 로맨스를 시작한다.

공개된 스틸 속 이군은 ‘기억지우개’ 수술 후 처음으로 경주연을 마주한 상황. 이군의 애절한 눈빛은 긴장감을 가득하게 한다.

이군에게 다가간 담당의 경주연은 자신의 볼을 쓰다듬는 이군의 태도에 당황할 새 없이 천년의 사랑을 마주한 듯 활활 타오르는 눈빛으로 바라보는 이군의 모습에 어쩔 줄 몰라 한다.

기억지우개 수술 후 깨어난 이군이 자신이 평생 소원하던 첫사랑으로 경주연을 각인하게 된 것.

이어 벅차오르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한 이군은 그리움을 토하듯 경주연을 와락 끌어안아 보는 이들의 심장을 부여잡게 한다. 갑작스러운 환자의 불꽃 포옹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경주연의 표정이 웃음을 자아낸다.

한편 자존감 최했던 이군이 ‘기억지우개’ 수술로 경주연을 그토록 기다리던 첫사랑으로 오인하며 펼쳐진 희대의 상황. 악연에서 시작했던 이들의 관계가 첫사랑 로맨스로 바뀌면서 앞으로 이군의 직진 로맨스가 예고되며 흥미진진한 첫사랑 로맨스가 기대된다.

한편 MBN 새 금토미니시리즈 ‘나쁜 기억 지우개’는 8월 2일(금) 밤 9시 40분에 첫 방송된다. 또한 OTT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를 통해 공개되며 일본 U-NEXT,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중동, 인도에서는 라쿠텐 비키(Rakuten Viki)에서 독점 공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오산시 대원1동 새마을부녀회, 직접 담근 고추장 80통 기탁하며 따뜻한 나눔 실천

[뉴스스텝] 오산시 대원1동 새마을부녀회는 지난 9월 16일 대원1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지역 내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직접 만든 고추장 80통을 전달했다고 밝혔다.이번에 기탁된 고추장은 부녀회 회원들이 전통 방식으로 정성껏 담근 것으로, 깨끗한 재료와 이웃을 향한 따뜻한 마음이 더해져 의미를 더하고 있다.수제 고추장은 대원1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관내 저소득 취약계층 80가구에 전달될 예정이며, 각 가

평택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 재활 등록자 지역사회 적응훈련

[뉴스스텝] 평택시 정신건강복지센터(북부)가 지난 16일 등록회원 20명을 대상으로 키오스크 활용 교육 및 지역사회 문화 체험, 공공기관 무인 발급기 이용 교육을 하며 중증·만성 정신질환자의 일상 기능 회복과 사회 적응을 도왔다.이번 행사는 평택북부문예회관, 송탄출장소, 햄버거 가게 3곳에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이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키오스크 기술을 익히고 지역문화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첫 번

(사)장애인 미디어 인권협회 구리시지회, 장애 인식 개선 위한 인권 교육 개최

[뉴스스텝] 장애인 미디어 인권협회 구리시지회는 지난 12일 구리시 장애인단체 대강당에서 ‘사회적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인권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장애와 인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진행됐다.권미경 회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교육을 준비하면서 설렘과 긴장,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다”라며 “누군가에게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