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2024년 3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8,974만 톤 처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30 14:15:30
  • -
  • +
  • 인쇄
총 항만물동량(컨/비컨)은 전년 대비 1.6% 증가, ‘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보다 3.5% 증가한 782만 TEU 처리
▲ 2024년 3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인포그래픽

[뉴스스텝] 해양수산부는 2024년 3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8,350만 톤)보다 1.6% 증가한 총 3억 8,974만 톤(수출입화물 3억 3,344만 톤, 연안화물 5,630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2024년 3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2,646만 톤) 대비 2.1% 증가한 3억 3,344만 톤으로 집계됐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703만 톤) 대비 1.3% 감소한 5,630만 톤이었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울산항,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 5.1%, 1.9% 증가했고 광양항,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9%씩 감소했다.

2024년 3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56만 TEU) 대비 3.5% 증가한 782만 TEU로 집계됐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432만 TEU) 대비 0.2% 증가한 433만 TEU를 기록했다. 이는 중동정세, 컨테이너 운임 불안정성 등에도 불구하고 미국·중국 등 주요 교역국과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미국 14.3%↑, 중국 3.0%↑ 등)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적물량도 전년 동기(319만 TEU)에 비해 8.0% 증가한 345만 TEU를 기록했다.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576만 TEU)에 비해 4.9% 증가한 604만 TEU를 처리했다. 이는 미국(17.8%↑)과 중국(6.0%↑)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세부적으로 부산항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266만 TEU)에 비해 1.2% 증가한 269만 TEU를,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10만 TEU) 대비 8.1% 증가한 335만 TEU를 기록했다.

인천항은 자동차 및 부품 등의 컨테이너 수출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88만 TEU) 대비 1.9% 감소한 86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87만 TEU) 대비 1.8% 감소한 85만 TEU를 기록했고,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1.2만 TEU) 대비 9.3% 감소한 1.1만 TEU를 기록했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49만 TEU) 대비 1.8% 증가한 50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42만 TEU(전년 동기 42만TEU)를,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7.5만 TEU) 대비 13.4% 증가한 8.5만 TEU를 기록했다. 이는 광양항을 이용하는 주요 글로벌 선사의 원양(중남미) 서비스 유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 항만의 2024년 3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2억 5,256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5,239만 톤) 대비 0.1% 증가했다. 울산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인천항은 물동량이 증가했으나 광양항은 감소했다.

광양항은 석유정제품과 철광석 수입, 석유가스 등의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원유, 유연탄 등의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6,210만 톤) 대비 1.0% 감소한 6,150만 톤을 처리했다.

울산항은 원유 수입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4,634만 톤) 대비 5.0% 증가한 4,867만 톤을 처리했다.

평택·당진항은 광석 수입은 감소했으나 석유가스, 자동차 등의 수입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2,408만 톤) 대비 1.6% 증가한 2,446만 톤을 처리했다.

대산항은 원유 수입과 석유정제품 수출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1,900만 톤) 대비 21.3% 증가한 2,304만 톤을 처리했다.

인천항은 석유가스 물동량 증가 등에 따라 전년 동기(2,203만 톤) 대비 0.6% 증가한 2,216만 톤을 처리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자동차는 각각 5.2%, 5.0% 증가했고 광석, 유연탄은 각각 4.2%, 6.1% 감소했다.

유류의 경우 울산항, 광양항의 원유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대산항의 원유 수입, 인천항, 보령항, 광양항 등의 석유가스 수입, 울산항과 대산항의 석유정제품 수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기(1억 970만 톤) 대비 5.2% 증가한 1억 1,546만 톤을 기록했다.

광석의 경우 광양항과 포항항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평택·당진항, 동해·묵호항, 인천항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3,257만 톤) 대비 4.2% 감소한 3,119만 톤을 기록했다.

유연탄의 경우 하동항, 평택·당진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동해‧묵호항, 보령항, 태안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3,261만 톤) 대비 6.1% 감소한 3,061만 톤을 기록했다.

자동차는 전년 동기(2,232만 톤) 대비 5.0% 증가한 2,343만 톤을 기록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미국, 중국 등 주요국과의 수출입 증가에 힘입어 3분기까지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가 지속됐다.”라며, “해양수산부는 연말까지 항만운영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 관리하여 수출입 물류 여건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세종시 소정면의용소방대, 무연고 묘지 벌초 봉사

[뉴스스텝] 세종북부소방서 소정면 남성의용소방대(대장 한천훈)와 여성의용소방대(대장 염태숙)가 3일 소정면 대곡3리 소재 무연고 묘지 30기를 대상으로 벌초 봉사와 위령제를 진행했다.이날 의용소방대원 20여 명은 추석을 앞두고 관리되지 않는 묘지를 정비해 선영에 예를 다하고 마을 환경을 깔끔하게 정비했다.염태숙 대장은 “추석을 맞아 고인을 기리며 마을 환경도 정비할 수 있어 뜻깊었다”고 전했다.황규빈 대응

제2회 4.16재단 문화콘텐츠 공모전 대상작 '가족의 비밀', 2일부터 극장 동시 IPTV & VOD 서비스 오픈!

[뉴스스텝] 제2회 4.16재단 문화콘텐츠 공모전 대상작 이 10월 2일(목) 바로 오늘부터 극장 동시 IPTV & VOD 서비스를 시작한다.[감독/각본: 이상훈 | 출연: 김혜은, 김법래, 김보윤 | 제작: ㈜이엔터테인먼트, ㈜오예스 | 배급: ㈜스튜디오 디에이치엘]은 갑자기 집을 자주 비우는 ‘연정’, 수상한 행동을 시작한 ‘미나’, 갑자기 운동을 하겠다며 휴일마다 집을 나서는 ‘진수’의 비밀이 하나로

고창군, 고택종갓집 활용사업 ‘창극옹녀’ 성황리에 마무리

[뉴스스텝] 고창군이 4일 ‘2025년 국가유산 활용사업’으로 추진한 ‘신재효 고택으로의 초대’ 마지막 행사를 창극 ‘옹녀’로 성황리에 마무리했다.올해 ‘신재효 고택으로의 초대-명창의 길, 풍류의 길’은 고창군이 (사)동리문화사업회와 같이 판소리 체험, 창극 공연, 플로깅 탐방, XR 체험 등이 어우러져 지난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고창 신재효 고택 일원에서 운영됐다.올해 ‘신재효 고택으로의 초대’ 프로그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