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교육청 제45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충북 학생들 최우수상 2점 등 우수 성과 거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4 14:05:25
  • -
  • +
  • 인쇄
▲ 제45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충북 학생들 최우수상 2점 등 우수 성과

[뉴스스텝]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자연과학교육원은 4일, 제45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 2점을 비롯하여 특상 1점, 우수 6점, 장려 7점 등 16개 작품이 입상했다고 밝혔다.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는 1979년에 시작되어 올해로 45회를 맞이한 대회로, 생활 속 불편한 점을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는 전국 17개 시도의 14,000점 중 지역 예선을 거친 301명의 학생이 전국대회에 참여했다.

최우수상을 받은 작품은 봉정초등학교 6학년 장민준학생의 '잔량 없이 다 마실 수 있는 우유갑!'과 중앙탑중학교 2학년 용휘랑학생의 '알약이 한 알만 쏙! 홀인원'이다.

'잔량 없이 다 마실 수 있는 우유갑!'은 우유를 마시고 난 후 잔량이 남아 교실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우유갑을 다양하게 접어보면서 최적의 경사면을 찾아내어 고개를 젖히지 않아도 잔량이 남지 않는 우유갑을 발명해 경제성, 친환경성, 실용성 영역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알약이 한 알만 쏙! 홀인원'은 약을 먹을 때 여러 개가 한꺼번에 나오는 문제와 약을 손으로 만지는 비위생적인 상황을 개선하고자 한알씩 쉽게 꺼낼 수 있는‘홀인원’뚜껑을 개발하여 약통에 부착한 발명품으로 편의성, 위생성, 경제성, 활용성이 높은 발명품으로 평가됐다.

이외에도 충북과학고등학교 3학년 이진형학생의 '지형 변화 윤곽선을 지면에 직접 빛으로 표시해주는 보행 보조 장치(지도교사 정도일)'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발명품으로 특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충청북도자연과학교육원의 이러한 성과는 에디슨발명메이커교실 운영과 충북 내 발명교육센터 컨설팅 등 학생, 학부모, 교원들의 발명마인드를 높이고 발명교육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지성훈 자연과학교육원장은 “학생과 교사들의 역정 덕분에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앞으로도 학생들의 숨겨진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발명프로그램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회 수상작품은 오는 9월 13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전시되며, 시상식은 10월 8일에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립대, 따뜻한 커피 한 잔 속 ‘마음을 잇다’

[뉴스스텝] 충남도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는 대학 학생회관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Cafe, together!’를 운영 중이라고 24일 밝혔다.이 프로그램은 지난 9월부터 12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진행되는 상담카페형 심리회복 프로그램이다.‘마음을 잇는 한 잔, 생명을 잇는 만남’을 주제로 학생들이 또래상담자나 가까운 친구와 함께 따뜻한 커피 한 잔을 나누며 마음을 표현하고, 정서적

제주도의회 한권 의원, 추자해상풍력발전사업 도민펀드 도입해야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한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일도1·이도1·건입)은 10월 23일 열린 제443회 임시회 혁신산업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제주의 미래 먹거리로, 도민사회의 공감대와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발전사업의 수익이 도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제도 설계가 필요한 바, 추자해상풍력발전사업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발전사업 추진시 일반도민들도 투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강원메타버스교육체험관 운영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5년 10월부터 도내 초·중·고 및 특수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체험 프로그램인 ‘강원메타버스교육체험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강원메타버스교육체험관’은 미래 핵심 기술인 메타버스를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접목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하고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체험관에서는 강원의 지역적 특색을 살린 다양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