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 확대, 창원특례시 특화스포츠 자원 무기로 대응 전략 마련 필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4-03 14:05:33
  • -
  • +
  • 인쇄
창원시정연구원, '창원정책 Brief 2024 Vol.3' 발간
▲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 확대, 창원특례시 특화스포츠 자원 무기로 대응 전략 마련 필요

[뉴스스텝] 창원시정연구원은 4월 3일 '창원정책 Brief 2024 Vol.3' 을 발간했다. 이번 창원정책브리프는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과 창원특례시 대응 방안’을 주제로 윤석열 정부 12대 국정과제 ‘모두를 위한 스포츠, 촘촘한 복지 실현’, 문화체육관광부의 '제3차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계획(2019-2023)', ‘스포츠관광 활성화 업무협약’,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에 제시된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에 대한 검토와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북 전주시의 스포츠관광 육성 사례 등을 바탕으로 창원특례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스포츠관광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11년 6,000억 달러에서 2023년 61,200억 달러, 2022년~2029년 동안 19.50% 이상의 성장률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는 등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관광산업의 한 분야이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는 스포츠관광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 체제에 돌입했으며, 우리 정부에서도 스포츠관광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창원특례시는 지역이 가진 특화스포츠 자원을 무기로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에의 적극적인 대응, 스포츠관광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김기영 연구위원은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과 타 지자체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①지역 특화 스포츠도시 육성, 스마트 관람 플랫폼 구축 지원, 지역 스포츠관광 컨소시엄 구성 등 정부의 스포츠관광 육성 정책 사업을 적극 유치하고, ②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북 전주시의 스포츠관광 육성 사례에 기반한 ‘가칭)창원특례시 스포츠관광 활성화 마스터플랜 수립’이 필요하며, ③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관광 활성화 업무협약’ 기관과의 적극적 협력을 통한 창원특례시 스포츠관광 활성화 기회 마련이 요구됨을 제안했다.

'창원정책 Brief'는 창원시정연구원 내 각 연구실의 혁신적인 연구·개발 결과로 필요시 상시 발간되며, 연구 협력을 위한 소통의 창구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창원정책 Brief' 전문은 창원시정연구원 홈페이지 연구자료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남양주시, 화도·수동·호평·평내 학부모와 미래교육 소통의 장 열어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23일 화도읍 소재 한 카페에서 화도·수동·평내·호평 지역 ‘중·고등 학부모 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를 성황리에 개최했다.‘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는 권역별·학교급별로 학부모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자녀 교육 경험을 나누는 등 실질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 네 번째로 열린 이번 아카데미에는 화도·수동·호평·평내 지역 15개 중·고등학교 학

남양주시 호평애향기동대, 호만천 마을가꾸기 행사 실시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지난 19일 호만천 일대에서 호평애향기동대가 마을가꾸기 행사를 열고 수국 500주 식재와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마을가꾸기 공모사업에 선정돼 마련된 것으로, 주민들에게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고 호만천을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가꾸기 위해 추진됐다.행사에는 호평애향기동대 단원 40여 명이 참여해 호만천 주변에 수국을 식재하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등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는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에 관한 문제”

[뉴스스텝]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3일 열린 ‘제4회 전국 교육정책 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자리에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를 위한 노력과 탄력적이고 유연한 교원정원 제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교육부, 교육정책 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해 이뤄졌다.토론회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윤건영 충청북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