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연승 도전’ 김천상무, 주장 김현욱 앞세워 승리 노린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7 14:05:23
  • -
  • +
  • 인쇄
▲ 김천상무 김현욱이 지난 17일 전북전에서 드리블을 하고 있다.

[뉴스스텝] 김천상무가 오는 30일 수원FC를 상대로 2연승에 도전한다.

김천상무프로축구단(대표이사 배낙호)이 오는 30일 오후 4시 30분,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수원FC(이하 수원)와 ‘하나은행 K리그1 2024’ 4R 경기를 치른다. 김천은 전북전 승리에 이어 2연승에 도전한다.

승리 이끌 선봉장 김현욱, 3경기 연속골 도전

김현욱의 발끝이 심상치 않다. 김현욱은 올 시즌 세 경기에 나서 세 골을 넣으며 이동경(울산 HD), 가브리엘(광주FC)과 득점 공동 선두를 달리는 중이다. 2R 울산전 멀티골에 이어 전북전에는 환상적인 중거리슛 결승 득점으로 승리를 이끌었다.

빠른 득점 페이스다. 김현욱의 ‘커리어 하이’는 4골로 제주에서 뛰던 2018시즌이었다. 당시 김현욱은 전남과 인천을 상대로 두 경기 연속골을 넣었고, 이후 대구와 포항에게 득점했다. 김현욱의 마지막 멀티골 기록은 2021시즌 김천을 상대로 한 7R였다.

김현욱은 기세를 몰아 수원을 상대로 3경기 연속골에 도전한다. 득점에 성공할 경우 수립할 수 있는 기록이 많다. 득점 시 커리어 최초 세 경기 연속골, 커리어 하이와 동률이다. K리그1 통산 10득점도 달성하게 된다. 멀티골을 넣을 경우에는 5골로 커리어 하이를 경신한다. 김현욱이 기록 경신과 함께 김천의 승리를 이끌지 기대되는 대목이다.

수원 상대 첫 승 도전, 주전 체력 안배가 관건

김천은 수원을 상대로 첫 승에 도전한다. 김천의 수원 상대 전적은 1무 3패로 열세지만, 맞대결을 거듭할수록 승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3연패 중에도 득실차는 1골에 불과했으며, 점유율은 모든 경기에서 앞섰다.

특히, 가장 최근 맞대결인 2022시즌 34R에서는 7대 3의 점유율로 수원을 압도했다. 경기 결과 면에서도 내리 패배하다 무승부를 기록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무엇보다 승리가 없던 대구와 전북을 상대로 이번 시즌 창단 첫 승을 거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다만, 승리를 위해서는 주전 선수의 체력 안배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올림픽 대표로 WAFF U-23 챔피언십 참가 후 귀국하는 강현묵, 이영준의 출전 여부가 미지수다. 둘은 이번 시즌 각각 3경기와 2경기에 출장하며 팀의 순항을 이끄는 중이지만, 체력 안배를 위해 대체 자원의 출전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날 경기는 IB SPORTS와 쿠팡 플레이에서 시청 가능하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법무부, 제2기 '이민정책위원회' 출범

[뉴스스텝] 법무부는 9월 24일 14:00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대회의실에서 이민정책에 대한 자문기구인 제2기'이민정책위원회'위촉식을 개최했다. 이민정책위원회는 김동욱 명예교수(서울대 행정대학원)를 위원장으로 하고, 이민정책 분야에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학계, 법조계, 사회단체 활동가 등 외부전문가 18명, 내부위원 2명을 포함해 모두 20명으로 구성됐다. 정성호 장관은 위촉식에서 “우

산림청, 민‧관‧군이 함께하는 전사자 유해발굴지 생태복원

[뉴스스텝]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9월 23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오유리 일대의 6·25 전사자 유해발굴지에서 효성화학㈜, 육군 제21사단, 민북지역국유림관리소, 양구군청과 함께 민·관·군 합동 생태복원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국립수목원이 복원용 자생식물 종자를 제공하고, 효성화학㈜은 식물 생육과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했다. 군과 유관 기관은 민통선 지역 출입과 생태복원을 위한

농촌진흥청, 농업 현장 기술 수요 파악·연구 성과 적용 점검 ‘잰걸음’

[뉴스스텝]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추진하는 중점 과제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전국 농업 현장을 찾아 분야별 현안을 점검하고 논의하고 있다. 9월 24일 오전에는 평택의 양봉농가를 찾아 현장의 어려움을 듣고,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이 청장은 최근 몇 년간 지속되는 불볕더위와 겨울철 고온으로 꿀벌 사육에 고충이 있으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