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청년미래센터 고립은둔청년 지킴이 양성 부모교육 인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2 14:15:15
  • -
  • +
  • 인쇄
고립은둔청년 부모교육 2기 시작
▲ ㈔파이나다운청년들 김명진 수석상담사가 지난달 26일 인천시청년미래센터 퀘렌시아에서 고립은둔청년 부모교육 2기 교육을 하고 있다.

[뉴스스텝]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청년미래센터는 고립·은둔청년 지킴이 양성 부모교육이 입소문을 타고 참여자가 점차 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지난달 말 시작한 2기 고립·은둔청년 지킴이 양성 부모교육에는 모두 35명이 참여한다.

지난 5월 진행한 1기 교육은 24명이 참여했고 지난해 9월 센터 개소 후 처음으로 열린 교육에는 12명이 함께했다.

이렇게 날로 인기가 올라가는 이유는 인천에서 유일한 고립은둔청년 부모 모임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올해 1, 2기 모임에 모두 참여한 A(56) 씨는 “고립된 아이와 어떻게든 소통해보려고 부모교육, 모임을 찾았는데 늘 서울이나 다른 지역으로 가야했다”며 “아무래도 인천에 있으니 접근성도 좋고 교육 후 별도 모임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처음 참여한다는 B(61) 씨는 “모범생이었던 아이가 달라져 밖으로 나오지 않으니 너무 답답해 여러 방면으로 부모교육을 찾다가 마침 인천에서도 이런 과정이 있다고 해서 찾아왔다”며 “부모가 먼저 달라져 보자는 생각에 남편도 같이 나왔다”고 말했다.

현장 전문가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이번엔 ㈔파이나다운청년들 김명진 수석상담사가, 지난 1기는 김현일 전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 대표가 강사로 나섰다.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는 고립은둔청년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강의는 부모들이 가진 편견과 욕심에서 벗어나 고립·은둔을 이해하고 자녀와 관계를 회복하는 방법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김명진 수석상담사는 “부모님들은 자녀가 ‘보통’의 삶을 살길 바라지만 보통이 어려워 고립, 은둔을 택한 청년들에게는 ‘다른 사람처럼’ 사는 일조차 힘들다”며 “부모들의 조급한 마음을 달래고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우려 한다”고 말했다.

올해 교육은 2기로 마무리한다.

2기 교육은 지난달 26일~이달 30일 6주간 매주 화요일 오후 인천시청년미래센터에서 열린다.

6번에 걸쳐 △고립은둔자녀 이해 △나의 감정 이해 △고립은둔 자녀와 소통법 △회복 그리고 기다림을 강의한다.

참여를 원하는 이들은 인천시청년미래센터으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강원도의회 박윤미 도의원, 우두동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미흡’ 강력 질타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박윤미 의원은 5일 열린 강원개발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춘천 우두동 도시개발사업의 타당성 검토 결과 ‘미흡’ 판정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제기했다.박 의원은 “지방공기업평가원에서 최근 완료한 타당성 검토 결과, 해당 사업이 경제성·재무성 측면에서 모두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이 상태로는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순현재

시민과 함께한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일생활 균형 저출생 대응 공감대 형성

[뉴스스텝] 천안시는 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을 열고 일생활 균형을 통한 저출생 대응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번 포럼은 시민과 정책수요자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란? – 일·생활, 출생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전문가 발표와 기업 사례 공유, 시민과 패널이 함께하는 자유토론으로 진행됐다.이지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일·가정 양립 정책의

제주콘텐츠진흥원, 나도 웹툰 작가가 되어볼까? AI로 만드는 웹툰 창작 참가자 모집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콘텐츠진흥원(원장 강민부)은 제주지역 콘텐츠 창작 생태계 확장을 위해 ‘AI와 함께하는 웹툰 창작 인큐베이팅 클래스’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교육은 생성형 AI 도구를 기반으로 한 실습 중심 교육으로, 웹툰 스토리 기획, 시나리오 제작, 이미지 생성, 일관된 캐릭터 스타일링, 포토샵 편집 과정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됐다. 참가자는 챗GPT(ChatGPT), 미드저니(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