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주는 해결사' 강기영, “유쾌하고 통쾌하게 사건을 해결해가는 ‘해결사’들의 활약 눈여겨 봐달라” 애정 가득 본방사수 메시지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2 14:10:31
  • -
  • +
  • 인쇄
▲ [사진 제공: SLL, 하우픽쳐스, 드라마하우스]

[뉴스스텝] 강기영이 ‘끝내주는 해결사’ 속 동기준 캐릭터에게 푹 빠져들었다.

오는 31일(수) 저녁 8시 50분 첫 방송될 JTBC 새 수목드라마 ‘끝내주는 해결사’(하우픽쳐스, 드라마하우스, SLL)에서 변호사 동기준 역을 맡은 강기영이 직접 캐릭터의 매력과 본방사수 포인트를 전하며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것.

‘끝내주는 해결사’는 ‘쥐도 새도 모르게 이혼시켜 드립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이혼 해결사 사라킴(이지아 분)과 똘기 변호사 동기준(강기영 분)의 겁대가리 없는 정의구현 응징 솔루션을 담은 드라마.

선과 악을 넘나들며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줬던 강기영이 또 한 번 인생 캐릭터 경신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끝내주는 해결사’의 속도감에 끌렸다던 강기영은 “극 중 해결사들이 이혼을 의뢰한 의뢰인을 도우면서 진행되는 사건의 전개가 굉장히 빠르다. 많은 일을 겪으면서도 결국 통쾌하게 승소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시청자분들에게 속 시원한 카타르시스를 자아내리란 기대를 하게 만들었다”고 작품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동기준 캐릭터에 대해서는 셰퍼드, 경주마, 오뚝이 등 세 가지 키워드를 꼽아 소개했다. “불합리하고 억울할 수 있는 상황에도 본인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이라면 불의에 맞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진하는 인물”이기 때문.

“어려운 일에도 쉽게 꺾이지 않고 때론 오뚝이처럼, 때론 경주마처럼 나서는 강인함에 반했다”고 답했다.

그런 만큼 연기 포인트도 “동기준의 매력을 시청자들에게도 고스란히 보여드리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고. 악질 배우자에게는 물러서지 않고 맞서는 한편, 뜻밖의 반전미까지 가지고 있는 강기영 표 동기준 캐릭터가 궁금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강기영은 “유쾌하고 통쾌하게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끝내주는 해결사’들의 활약을 눈여겨 봐주시기 바란다”며 관전 포인트와 함께 “2024년 1월 31일 수요일 저녁 8시 50분,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린다”고 첫 방송 사수 독려 메시지를 덧붙였다.

강기영의 순도 100% 애정과 진심, 열정으로 탄생할 셰퍼드 변호사 동기준을 만날 수 있는 JTBC 새 수목드라마 ‘끝내주는 해결사’는 오는 31일(수) 저녁 8시 50분에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