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역사에 관한 모든 것, `서울역사아카이브`에서 찾으세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2-14 14:10:14
  • -
  • +
  • 인쇄
서울학 조사연구 기록, 근현대 서울사진, 시정사진, 서울지도 등 총 26,131건 공개, 작년 한 해만 36,869건 다운로드, 3,782,365건 누적 조회로 전년보다 25% 늘어
▲ 서울역사아카이브 누리집

[뉴스스텝] 서울역사박물관은 2020년 ‘서울역사아카이브’의 공공저작물 제1유형(자유이용조건) 개방 후, 작년 한 해만 36,869건을 다운로드하는 등 전문가, 대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아카이브 이용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서울미래유산기록·서울발굴기록의 박물관 조사연구자료와 근현대서울사진·서울시정사진·서울지도의 박물관 소장자료로, 총 6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사진1).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담는 기억 저장소로서 현재 총 26,131건의 자료가 망라되어 공개되고 있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 또는 별도의 서울역사아카이브 누리집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데, 박물관 온라인 콘텐츠 중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콘텐츠이기도 하다. 주제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박물관에서 조사 연구한 서울학 성과들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서울역사아카이브만의 특화된 장점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2007년부터 시작된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는 도시화로 급변하고 있는 서울의 공간과 역사, 사람들의 삶을 기록한 연구 성과이며, '서울미래유산기록'은 급속히 사라져가는 노포(老鋪)와 전통산업을 심층 조사한 결과물로, 올해는 2022년에 조사한 ‘망우’, ‘천호’, ‘서울의 이용원’의 원 자료들을 새롭게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발굴기록'은 종묘광장, 한양도성, 의정부지 등을 발굴 조사한 결과물로, 발굴현장·유물 사진, 도면 등 땅속에 묻혀있던 서울의 기억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서울시정사진'은 서울시 언론담당관에서 이관받은 1957년부터 1999년까지의 시정사진 기록이다. 서울시만의 고유한 아카이브로 3,657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대표 유물 컬렉션을 바탕으로 하는 '근현대서울사진'과 '서울지도'는 주제별, 시대별 등으로 분류하여 6천여 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 역사와 관련된 주요 시각자료들을 볼 수 있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 콘텐츠이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박물관 생산·수집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대시민 지식공유를 위해 2014년 박물관 누리집에 처음 공개했고, 2020년 공공누리 제1유형 자유이용조건으로 아카이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서울학 연구의 지식저장고로서 공공성을 강화해왔다. 비상업적·상업적 이용이 모두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대상과 매체로 활용이 다변화되는 추세이다.

서울 역사에 관한 폭넓은 자료들을 망라하고 있는 만큼 대중미디어, 전시, 연구, 교육, 출판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역사저널 그날’(KBS), ‘e지식채널’·‘다큐프라임’(EBS), ‘벌거벗은 한국사’·‘유퀴즈온더블록’·‘알쓸인잡’(tvN) 등의 방송 및 영국 V&A 미술관(‘Hallyu! The Korean Wave’ 전시), 국립민속박물관 등 국내외 전시 활용으로 서울 역사 콘텐츠가 더 널리 확산되고 있다(사진2, 3, 4). 이외 서울역사편찬원, 국사편찬위원회, 대학 등 전문 연구기관의 학술 조사·교육에도 활용되며 일반 대중서 등의 출판물에도 꾸준히 수록되어 대시민 이용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서울역사아카이브의 주 이용자는 개인으로, 직장인 외에도 전업주부, 학생, 자영업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서울 역사에 대한 개인의 호기심에서부터 과제 수행, 논문 작성, 건축 설계, 유튜브·블로그 제작, 자녀교육 등 이용 목적도 매우 다양하다. 누구나 콘텐츠의 생산자가 되고 소비자가 되는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시대에 지식저장고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시민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아 온 서울역사아카이브는 앞으로도 서울 역사와 관련된 자료들을 새롭게 발굴 공개하고, 사회관계망(SNS) 소개를 통해 소통을 더욱 확대하고자 한다. 서울학 연구의 요람으로서 전문가들의 서울 역사 연구를 지원하는 한편, 일반 시민들이 더욱 쉽고 재밌게 찾을 수 있는 친근한 아카이브가 되도록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