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 최명룡 교수팀, 혁신적 고엔트로피 합금 촉매 개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19 14:00:21
  • -
  • +
  • 인쇄
높은 내구성과 전도성 갖춘 합금, 암모니아 전환율 극대화
▲ 최명룡 교수팀, 혁신적 고엔트로피 합금 촉매 개발

[뉴스스텝]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최명룡 교수(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장)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합성한 고엔트로피 합금(High-Entropy Alloy, HEA) 촉매가 질산염(NO2−)을 암모니아(NH3)로 전환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환경적·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기에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스몰(small)》(IF: 13.0) 최신호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최명룡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망간(Mn) 기반의 고엔트로피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HE-PBA)를 단일 상의 스피넬 고엔트로피 산화물(HEO) 과 면심입방 구조(fcc)의 고엔트로피 합금(HEA)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특히, 이 연구는 비교적 간단한 소성(calcination)과 액체 내 펄스 레이저 조사(PLIL)를 결합한 방법을 통해 이를 달성했다.

이렇게 합성된 고엔트로피 합금이 매우 높은 전도성을 갖추고 있으며, 반응 표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특징을 확인했다.

이 합금은 전해질 내에서 미량의 질산염을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데 기존 방법과 비교해 매우 뛰어난 성능과 높은 내구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다양한 전기화학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 혁신적인 합성이 보다 실용적인 암모니아 생산 방법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과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 대한민국 대표 청년 축제 ‘대성황’

[뉴스스텝] 대한민국 대표 청년 축제인 ‘피크타임 페스티벌’이 전국 청년들의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충남도는 19일 천안시민체육공원 일원에서 ‘제3회 전국 청년 축제 2025 피크타임 페스티벌’을 개최해 청년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도와 천안시가 주최·주관하고, 충남·대전·충복·세종 등 전국 청년으로 구성한 청년 축제기획단이 기획한 이번 행사는 ‘꿈동산, 유스토피아’를 주제로 청년의 꿈과 도전

강서구의사회, 지역 학생 20명에 장학금 2천만 원 전달

[뉴스스텝] 서울 강서구의사회가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 강서구의사회는 9월 19일 오후 7시 30분 이대서울병원 본관 이영주홀에서 ‘강서구의사회 장학금 전달식’을 열고 강서구 관내 중·고등학생 20명에게 총 2,000만 원의 장학금을 수여했다.이번 장학금은 강서구와 강서경찰서, 강서소방서 등 유관기관의 추천으로 선발된 학생들에게 지급됐으며, 학생 1인당 100만 원씩 전

전남도, 초대형 판옥선 무대로 되살아난 명량대첩 승리의 감동

[뉴스스텝]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과 조선 수군의 위대한 승리를 기리는 2025 명량대첩축제가 19일 해남 우수영관광지와 진도 녹진관광지 일원에서 개막해 역사와 첨단을 결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19일엔 울돌목 해역에선 해군·해경이 참여한 군함 해상퍼레이드가 울돌목 해역에서 펼쳐져 관람객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또한 해군 군악대·해경 취타대·연합풍물단, 수문장, 주민 21개 읍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