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공원', 봄꽃 가득한 꽃대궐로… 봄꽃 6만 8천본 심는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0 13:30:03
  • -
  • +
  • 인쇄
여의도·잠실한강공원 등에 팬지, 데이지 등 봄 알리는 꽃 화단, 화분 형태로 조성
▲ 식재 봄꽃(마가렛)

[뉴스스텝] 서울시내 11개 한강공원을 봄기운 가득한 시민들의 여가‧휴식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서울시가 유채꽃, 팬지, 데이지 등 다양한 봄꽃을 심고 꽃씨 파종을 완료했다. 한강공원 곳곳은 이미 향기로운 화단이 조성됐고 이번에 파종한 꽃씨들이 자라 올봄 반포 서래섬과 광나루는 유채꽃밭으로 한강변 주요 자전거도로변은 꽃길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12일 ~ 15일 한강공원 총 36,760㎡ 면적에 봄꽃 8종, 총 6만 8천 본, 꽃씨 4종‧총 690kg을 파종했다고 밝혔다.

봄꽃 8종의 경우 팬지, 비올라, 데이지, 마가렛, 오스테오스펄멈, 가자니아, 루피너스, 꽃양귀비로, 봄을 알리는 꽃들이다. 10개 한강공원 총 1,650㎡ 면적에 식재됐다. 화단부터 화분 형태의 꽃밭 등으로 조성돼 같은 종류의 꽃도 방문하는 한강공원마다 다양하게 느낄 수 있다.

예컨대, 여의도한강공원 천상의 계단을 찾으면 하얀·노란색 조합으로 아기자기한 자태를 뽐내는 데이지꽃을 비롯해 빨간·노란색으로 알록달록한 꽃양귀비, 보라색 팬지 등 봄꽃 8종을 원형화분으로 만날 수 있다. 잠실한강공원 자연학습장에는 같은 종류의 꽃들이 화단으로 조성돼 있다.

이번에 파종한 꽃씨 4종은 유채꽃, 백일홍, 꽃양귀비, 수레국화다. 서울시는 유채꽃의 경우 26,600㎡ 면적에 총 520kg을 심었고, 나머지 3개 꽃씨는 양화안내센터 앞 등 주요 자전거도로 변 23개소 8,510㎡ 면적에 170kg을 뿌렸다.

오는 5월 반포한강공원 서래섬을 비롯해 광나루한강공원, 난지한강공원 전원풍경단지를 방문하면, 봄의 전령 노란 ‘유채꽃’ 물결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강공원 자전거도로 변 꽃길을 따라 싱그러운 봄 내음 맡으며 라이딩도 즐겨보면 어떨까?

서울시는 매년 한강공원의 주요 광장, 녹지대, 산책로, 자전거도로, 화단 등 시민들이 즐겨 찾는 장소마다 각 계절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초화를 심어 아름다운 경관과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꽃들로 방문객들의 눈을 즐겁게 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올봄, 한강공원을 방문하면 봄의 생기를 느낄 수 있는 각양각색의 아름다운 꽃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며 “방문객들이 한강공원에서 산뜻한 봄 향기 맡으며 편안한 휴식과 건강한 여가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아름다운 꽃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가꾸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성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 미래 인재 성장 이끄는 수료식 개최

[뉴스스텝] 경상북도성주교육지원청은 11월 25일 15시 30분에 성주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2025학년도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초등수학반, 초등융합반, 중등융합반 영재학생 32명의 수료식을 성주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번 수료식은 1년 동안 지속된 영재교육 활동을 마무리하고, 학생들의 성장을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성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은 지난 4월에 개강해 이달까지 매주 수요

광주시, ‘2025년 광주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 성황리 개최

[뉴스스텝] 광주시는 25일 광주시문화예술의전당에서 자원봉사자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광주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함께 걸어온 오늘, 이어갈 우리’를 주제로 열린 이번 기념식은 올 한 해 지역 곳곳에서 헌신적으로 활동한 40여 명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표창 수여로 문을 열었다. 이어 처음으로 마련된 광주시자원봉사센터의 비전·미션 선포식, 자원봉사자를 위한 특별공연, 자원봉

경기도의회 명재성 의원, “국비가 50~60%까지 지원되는데... 도비 매칭 ‘0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명재성 의원(더불어민주당, 고양5)은 11월 24일 도시주택실 예산심의에서 “국비가 확보된 사업임에도 도비가 전혀 매칭되지 않아 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며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했다.명재성 의원은 “도의원이 된 이후 국비 매칭 사업에 도비를 반영하지 않은 사례는 처음 본다”고 말하며, 경기도의 예산 편성 기조와 현장의 실제 사업 필요성이 완전히 어긋났다고 지적했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