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을 잡아라' 손창민, 실종 하루 만에 사망? 화재 현장에서 불에 탄 지갑 발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3 13:10:13
  • -
  • +
  • 인쇄
▲ 사진 제공: KBS 1TV 일일드라마 방송 캡처

[뉴스스텝] 실종된 손창민이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어제(12일) 방송된 KBS 1TV 일일드라마 ‘대운을 잡아라’(극본 손지혜 / 연출 박만영, 이해우 / 제작 몬스터 유니온, 박스미디어) 21회에서는 공사장 화재 사건 현장에서 한무철(손창민 분)로 의심되는 신원 미상의 시신이 발견됐다.

어제 방송에서 아내 이미자(이아현 분)와 이혼 후 집을 나온 무철은 공사장에서 홀로 쓸쓸히 잠들었고 이후 연락두절됐다. 부모님의 이혼 소식을 듣고 충격에 빠진 한태하(박지상 분)와 한서우(이소원 분)는 미자와 살기로 했다.

큰돈이 생긴 이혜숙(오영실 분)은 큰아들 김석진(연제형 분)에게 옷을 사줬다는 이유로 대식과 또 다시 부딪혔다.

혜숙은 자녀들을 도와줄 방법을 찾아보자고 했지만 대식은 복권 당첨 사실을 들킬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혜숙은 “여태 힘들게 살았으면 쓸 줄도 알아야지. 당신도 그러는 거 아니다”라며 서운함을 드러냈다.

한편 무철의 건물을 판 최규태(박상면 분)는 계약금을 빚쟁이들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무철과 연락이 닿지 않던 규태는 대식에게 이 사실을 알리며, 무철의 행방을 살펴달라고 일렀다.

집 앞에서 마주친 미자로부터 앞으로 남편에 대해 묻지 말아달라 부탁받은 대식은 두 사람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건 아닌지 의문을 품었다.

하루아침에 사라진 무철로 인해 미자와 자녀들은 걱정과 분노에 휩싸였다. 서우는 무책임한 부친의 태도에 “헤어질 땐 헤어지더라도 돈은 주고 가야할 것 아니냐”라며 원망했다. 그 순간, 뉴스에서 신원 미상의 남성이 공사장 화재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방송 말미, 무철네 집을 찾아온 경찰은 무철의 가족에게 공사장 화재 사건 현장에서 무철의 지갑이 발견됐다고 밝혀 일촉즉발 긴장감을 선사했다. 무철의 사망 소식을 듣는 충격적인 엔딩은 안방극장을 충격에 빠뜨렸다.

방송을 본 시청자들은 “하루아침에 이렇게 사라진다고?”, “무철, 미자 과거 씬 마음 짠하다”, “, ”이렇게 예측 안 되는 일일드라마는 처음“, ”오늘도 스펙터클하네“, ”그래도 걱정해주는 건 친구뿐“, ”진짜 너무 재밌어“, ”진짜 죽은 거야? 말도 안 된다“ 등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한편 KBS 1TV 일일드라마 ‘대운을 잡아라’ 22회는 오늘(13일) 저녁 8시 3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거제시가족센터, 거붕백병원과 업무 협약 체결

[뉴스스텝] 거제시가족센터는 지난 23일 거붕백병원과 지역 내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주민의 의료 접근성 향상과 건강 증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다문화 및 외국인가족 등 지역 주민의건강 증진과 의료서비스 이용 편의성 제고를 위한 공동 협력 △지역사회 복지 및 의료 복지 향상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거제시가족센터와 거붕백병원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언어적·정보적 취약

보은군, 충북 최초 시행‘발달장애인 배상책임보험’

[뉴스스텝] 충북 보은군이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충북도내 최초로 ‘발달장애인 배상책임보험’ 지원사업을 오는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군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발달장애인이 사회활동 중 타인에게 신체·재산상 피해를 입힌 경우 피해자에게 보상해 주는 제도로, 발달장애인의 생활 안정과 사회 참여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보은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모든 발달장애인(지

용인특례시 상현2동, 주민 화합 위한 '제5회 소실봉 문화축제' 개최

[뉴스스텝] 용인특례시는 28일 상현2동 행정복지센터와 상현공원 일원에서 ‘제5회 소실봉 문화축제’가 이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고 29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소실봉문화축제위원회주최로, 주민이 준비하고 참여하는 화합의 장으로 꾸며졌다.소실봉 축제는 예전 느진재 ‘만현’ 마을의 정서를 되살리고 지역 고유의 문화자산을 계승·발전 시키기 위해 매년 이어오고 있다.이상일 시장은 축제 현장을 찾아 공연을 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