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식당' 시우민X추소정X이세온X이수민, 웃음꽃 만개 비하인드 스틸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3 12:50:06
  • -
  • +
  • 인쇄
▲ 사진 제공 : 와이낫미디어/하쿠호도DY뮤직&픽쳐스/코퍼스재팬

[뉴스스텝] ‘허식당’이 웃음꽃 만개한 현장 비하인드 스틸을 공개했다.

지난 3월 24일(월) 첫 공개 된 와이낫미디어 드라마 ‘허식당’(연출 오환민, 김경은 / 극본 성소현)이 배우들의 카메라 밖 모음 ZIP을 대방출하며 시청자들의 본방 시청 욕구를 끌어올렸다.

공개된 스틸 속에 담겨 있는 시우민(허균 역), 추소정(봉은실 역), 이세온(이이첨/ 이혁 역), 이수민(매창 / 정미솔 역)의 모습이 보기만 해도 절로 미소가 지어진다.

과거의 실재 인물 허균을 통해 색다른 연기 변신을 선보이고 있는 시우민은 매사 대본을 놓지 않고 캐릭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초집중한 시우민의 반짝이는 눈빛에서 작품에 대한 애정이 고스란히 느껴져 앞으로 남은 그의 활약이 더욱 기대된다.

그런가 하면 추소정은 무해한 미소로 현장 분위기를 환히 밝히며 활력소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와 관련 연출을 맡은 오환민 감독은 “소정 배우가 감정의 기복이 큰 역할이었음에도 촬영 내내 배우들 사이에서 너무 좋은 밸런스를 지켜줬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여기에 이세온과 이수민은 1인 2역임에도 불구, 역할에 따라 각기 다른 매력을 발산하며 확실한 존재감을 뽐냈다. 이세온은 캐릭터에 대해 여러 번 고민하고, 준비하며 현장에서 대기할 때까지도 그 인물로 오롯이 서 있던 배우였다고.

매 장면 진심을 다해 촬영에 임한 배우들의 모습이 인상적인 가운데, 배우 시우민과 추소정은 현장 에피소드를 직접 밝혔다.

시우민은 “드라마에 붕어빵을 먹는 씬이 많은데, 그 장면을 촬영하는 날이면 간식차로 붕어빵이 와서 한동안 붕어빵을 멀리했던 기억이 있다”라고 유쾌한 에피소드를 공개, “‘허식당’은 한 단어로 라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아는 맛이지만, 언제 먹어도 맛있고 자꾸 찾게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이야기 기대하셔도 좋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허식당’을 따뜻한 백반으로 정의한 추소정은 모녀 사이로 연기 호흡을 맞춘 배우 김희정과의 에피소드를 언급했다. 그녀는 “희정 선배님과 촬영한 감정 씬이 기억에 남는다.

초반이라 긴장을 많이 했는데 항상 기다려주시고 손잡아주시면서 여러 도움을 주셨다. 덕분에 집중하면서 연기할 수 있었다”라며 감사 인사를 잊지 않았다.

배우들의 만점 케미를 만나볼 수 있는 ‘허식당’은 와이낫미디어와 하쿠호도DY뮤직&픽쳐스, 코퍼스재팬이 공동 기획, 더그레이트쇼가 제작하였으며 오는 7일(월) 오후 5시 넷플릭스와 웨이브, 오후 7시 왓챠와 티빙, 오후 9시에 MBN플러스를 통해 5회가 공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