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 김주영 교수, 대한화학회 ‘BKCS 학술진보상’ 수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5 12:30:43
  • -
  • +
  • 인쇄
“환경과 에너지 분야 문제 해결에 이바지하는 나노소재 연구를 지속할 것”
▲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김주영 교수

[뉴스스텝] 경상국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김주영 교수가 대한화학회에서 주관하는 ‘2025년 BKCS 학술진보상(Progress in Chemistry Award of BKCS)’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4월 24일 제135회 대한화학회 춘계학술발표회에서 마련됐다.

BKCS 학술진보상은 대한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대한화학회지(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BKCS))》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학문적 기여도가 뛰어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김주영 교수는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를 이용한 암모니아(NH₃) 흡착 소재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MOF는 금속과 유기물이 격자처럼 연결되어 스펀지처럼 작은 분자들을 저장하거나 걸러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나노소재이다.

수상 논문은 BKCS에 실린 ‘다양한 NH3 작동 압력에서의 NH3 흡착을 위한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for NH₃ adsorption by different NH₃ operating pressures)’(공동저자: 배정원, 구민규 외)로, 다양한 암모니아 운전 압력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MOF 기반 흡착 소재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고, 응용 분야별 구조 설계 전략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고압부터 일상적인 저압 환경에 이르기까지 최적화가 가능한 MOF의 구조적 특성과 흡착 효율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주목받고 있다.

김주영 교수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환경과 에너지 분야의 주요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나노소재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라며 “고기능성 소재의 실용화를 위한 학제 간 융합연구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주영 교수는 경상국립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무기화학 및 나노소재 기술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알키미스트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기초연구실 및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했으며,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스페인 등 해외 유명 대학과의 연구교류 등 활발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 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안'이 문화복지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대구아리랑’은 대구 지역의 생활상과 정서를 담고 있는 향토 민요로, 팔공산, 금호강 등의 묘사나 지역 사투리 등 대구의 지역적 특색을 담은 가사가 특징이다.박 의원은 “대구 지역 고유의 향토 민요인

강북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뉴스스텝] 울산 강북교육지원청은 6일 울산교육연구정보원과 울산과학관에서 강북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지도력(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초등 135명, 중등 91명 총 226명이 참여했으며, ‘배움의 지도(리더), 나눔의 지도(리더)'를 주제로 7개 체험 활동과 특강이 진행됐다.학생들은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 그리기(드로잉)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에 직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 기획행정위원회 안건 심사를 통과해 9월 12일, 제3차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육 의원은 “최근 지역 내 잇따라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는 도심지 지하 개발의 급증과 노후 지하 시설물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중대한 현안으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