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현 부여군수, 국회에서 지역 경제의 마중물 ‘굿뜨래페이 성공’을 말하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2 12:25:04
  • -
  • +
  • 인쇄
지역공동체의 연대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생소한 전자식 지역화폐에 대한 공감과지지 이끌어내
▲ 박정현 부여군수, 국회에서 지역 경제의 마중물 ‘굿뜨래페이 성공’을 말하다

[뉴스스텝] 박정현 부여군수는 지난 1일 국회에서 열린 민선 8기 목민관클럽 제8차 정기포럼에서 지역경제의 마중물이 된 ‘굿뜨래페이’의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목민관클럽은 ‘지속가능한 로컬, 민주주의 경제모델 구축’을 주제로 20여 명의 해외연사,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이 함께하는 국제 포럼을 개최했다.

박 군수는 굿뜨래페이의 추진계기에 대해 5개 시·군(공주, 논산, 서천, 보령, 청양)으로 둘러싸인 부여군은 타지역으로 소비 유출되는 구조적 악순환을 겪고 있었다고 말하며, 지역의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화폐 개발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박 군수는 지역화폐 성공의 주된 요인 중 하나는 ‘적극적인 정책발행’이라고 말했다.

부여군은 다른 지자체보다 선제적으로 농민수당, 여성바우처사업, 재난지원금 등을 전자식 지역화폐로 발행했으며, 시행일 2019년부터 현재까지의 정책발행액은 1,143억 원에 이른다.

굿뜨래페이는 민·관 거버넌스 우수 사례로도 손꼽히고 있다.

시행 초기과정에서부터 지역주민, 전문가, 군의원, 관련 기관·단체가 참여한 굿뜨래페이 운영협의회를 구성하여 실사용자인 지역주민의 의견을 상시 반영할 수 있도록 했고,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통해 집중 홍보하여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사용을 유도했다.

또한, 다른 지자체와 달리 부여군은 독자적으로 공동체 순환형 시스템을 구축하여 카드수수료를 없애고, 소상공인과의 협조를 통해 가맹점간 재사용으로 순환부가가치를 창출했다.

이처럼 부여군은 지역공동체의 연대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생소한 전자식 지역화폐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굿뜨래페이는 연 1,000억 이상의 경제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 88개를 유치한 효과”라고 말하며, “이 같은 발 빠른 정책은 지역주민에게 희망과 자부심을, 인구소멸 지역에겐 지속가능한 미래를 부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여군은 굿뜨래페이의 성공을 통해 2022년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기준 ▲충청남도 내 인구당 발행량 1위 ▲총 유통액 5,023억 원 돌파 ▲ 골목상권 매출 25% 상승 등 끊임없이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재명 대통령, 세종 근무 공직자 격려오찬

[뉴스스텝] 이재명 대통령은 세종청사에서 처음 개최한 국무회의 이후, 각 부처에서 국정과제 및 주요 현안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 공무원들과 따뜻한 오찬을 가졌다.참석자들은 '올해의 근로감독관' 출신 고용노동부 주무관, 강릉 가뭄 현장지원반으로 활동한 소방청 소방경, 해양수산부 직원들의 안정적 부산 이전과 정착 지원 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사무관, 공공갈등과 집단민원 해결의 전문가인 국

부산 북구 덕천1동, 2025년 제2회 “함께 참여해요, 워킹데이”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부산 북구 덕천1동(동장 성희경)은 지난 10일 덕내골 그린봉사대와 함께 생활 속 걷기문화 실천과 보행 친화적 마을환경 조성을 위한 '함께 참여해요, 워킹데이'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캠페인에는 덕내골 그린봉사대 20여 명이 참여해 만덕대로 일대를 걸으며 잡풀 제거와 쓰레기 수거 등 환경정비를 진행했으며, 주민들에게 생활 속 걷기 실천을 홍보했다. 성희경 덕천1동장은

(사)부산광역시 북구자원봉사센터 반려동물봉사단, ‘다함께 행복하개(犬)’ 수제 장난감 전달

[뉴스스텝] 부산북구자원봉사센터(센터장 강성환) 반려동물봉사단 ‘다함께 행복하개(犬)’는 지난 15일 부산 강서구 부산동물보호센터를 방문해 반려동물 양말목 장난감 50세트를 전달했다고 밝혔다.반려동물봉사단은 반려인·비반려인·반려동물이 공존하는 지역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수제 간식 전달, 펫티켓 캠페인, 유기견 보호센터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강성환 센터장은 “현재 대한민국은 반려인 1,50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