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복지재단, 29일 제2차 서울시 사회적고립 연결 포럼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9 12:25:44
  • -
  • +
  • 인쇄
29일 오후 2시 고립가구를 지역사회·정책·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방안 모색
▲ 서울시복지재단, 29일 제2차 서울시 사회적고립 연결 포럼 개최

[뉴스스텝] 서울시복지재단 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는 사회적고립 대응 대책 모색을 위해 올해 두번째로'서울시 사회적고립 연결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도시와 골목, 우리 삶의 공간에서 만들어갈 수 있는 연결에 대해서 논의한다.

'고립을 대응하는 힘 ‘연결’ : 무엇을 연결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29일 오후 2시부터 온드림소사이어티에서 진행되며, 재단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되어 사회적고립 연결에 관심 있는 시민이면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사회적고립 연결포럼의 누리집에서 포럼의 자료집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사전 질문도 남길 수 있다.

‘사람을 연결하는 모두의 공간’을 주제로 한 강내영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겸임교수의 발표를 시작으로 이중식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의 ‘사람을 연결하는 기술’, 김진숙 공명건축사사무소 대표의 ‘사람을 연결하는 마을건축’, 박보아 길벗사랑공동체 해피인 대표의 ‘사람을 연결하는 해피로드’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강내영 교수는 최근 몇 년 간 일본 마을 만들기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된 ‘이바쇼’ 만들기 활동을 소개한다. 이바쇼란 지역 안에서 자기를 편안히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중식 교수는 기술과 이웃이 되는 시대 '1인 가구와 기술'의 저자로서 2019년 12월부터 신림동 원룸촌에서 ‘혼자 잘 살기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리빙랩을 운영하며 연구하고 실험했던 내용을 발표한다.

김진숙 대표는 공공장소 등을 설계할 때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사람을 연결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발표한다.

박보아 대표는 2017년부터 관악구 대학동 고시촌에 해피인이라는 15평의 공간을 마련하고, ‘밥’을 통해 지역주민을 만나왔으며 2020년 기준 연인원 3만여명의 주민들이 해피인을 방문했다.

이후, ‘고립을 대응하는 힘, 연결’을 주제로 발표자들의 자유토론 및 포럼 참여자들의 사전 및 현장 질문에 대한 응답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수진 사회적고립가구센터장은 “하나의 고립가구를 지역사회·정책·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본 포럼을 통해 공공과 현장, 지역주민이 함께 사회적고립가구의 연결망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 여성복지관, 2025년 제4기 사회교육강좌 수강생 모집

[뉴스스텝] 인천광역시 여성복지관은 오는 9월 19일부터 ‘2025년도 제4기 사회교육강좌’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10월 13일부터 12월 27일까지 진행되며, 전문기능과정, 실용·창업과정, 문화아카데미과정, 단기특강 등 총88개 강좌에서 1,608명을 모집한다. 강좌는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과 전문자격 취득을 아우르며 다양한 시민의 수요를 반영했다.특히 이번 기수에서는 신중년 교육지

울산시, 2025년 하반기 울산시민아카데미 개강

[뉴스스텝] 울산시는 오는 9월 18일 오후 2시 시청 본관 2층 대강당에서 열리는 첫 강연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 ‘2025년 울산시민아카데미’의 문을 연다.울산시민아카데미는 지난 2008년부터 이어진 울산의 대표적인 전문가 초청강연 프로그램으로, 상반기인 지난 4월에서 7월까지 총 4회에 걸쳐 ’2025년 시민아카데미‘를 개최됐다. 올해 하반기도 총 4회에 걸쳐 행복, 건강, 문화예술 등 다양한 주제로

주민이 제안하고 함께 만든 마포 가족운동회 열린다

[뉴스스텝] 가을 햇살이 한층 깊어지는 9월, 가족이 함께 뛰고 웃으며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자리가 마포에서 열린다.마포구는 9월 20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 염리생활체육관에서 ‘2025 마포 가족운동회’를 개최한다.이번 행사는 주민이 제안하고 함께 만든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구민들이 직접 제안하고 준비에 참여한 만큼 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마포구가족센터가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에는 마포구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