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옷장전쟁2' 김나영-김원중, 시즌2 MC 확정! 이번에는 패션 피플 옷장 턴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7 12:15:18
  • -
  • +
  • 인쇄
▲ 사진 제공=넷플릭스 '옷장전쟁2'

[뉴스스텝] 넷플릭스 예능 '옷장전쟁'이 시즌2를 론칭하는 가운데, 김나영과 호흡을 맞출 새 MC로 '킹원중' 김원중이 합류해 기대를 모은다.

'옷장전쟁'은 각기 다른 감각을 지닌 두 패션 전문가가 셀럽들의 옷장을 탈탈 털어 감다살 스타일링에 도전하는 의뢰인 옷장 맞춤 꾸미기 대결 프로그램.

넷플릭스에서 선보이는 패션 예능으로, 다채로운 셀럽들의 옷장을 탐방하며 그들의 패션 철학을 살펴보는 재미, 스타일링 비포 앤 애프터를 비교해보는 즐거움, 나아가 2MC가 승부욕 폭발하는 옷장대결을 펼치며 선보이는 티키타카가 웃음을 선사하며 나날이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이 같은 '옷장전쟁'이 오는 20일(월)부터 시즌2를 시작한다. 먼저 김나영과 함께 옷장 대결을 펼칠 새로운 MC로 모델 김원중이 낙점됐다.

김원중은 아시아 모델 최초로 프라다 쇼에 오르는 등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대한민국 대표 모델. 또한 '킹원중'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독보적인 패션 감각을 인정받으며 수많은 패션 피플들의 워너비로 군림하고 있는 한국 패션계의 레전드다.

실제 김나영과 끈끈한 친분을 지닌 김원중은 스타일링 센스부터 넘치는 승부욕까지, 김나영과 똑 닮은 '동족 케미'를 발산하며 '옷장전쟁2'의 새로운 관전포인트로 우뚝 설 전망이다.

그런가 하면 시즌2는 새로운 구성으로 시청자를 찾아간다. 선우용여, KCM, 이관희, 윤남노, 카니, 김대호, 강재준&이은형, 심으뜸, 빽가, 채정안, 정지선, 던까지 옷에 관심이 없거나, 본인과 맞지 않는 스타일을 추구해온 소위 '패알못 스타'들에게 옷을 입는 즐거움을 선사했던 시즌1과는 달리, 시즌2에서는 패션에 일가견이 있는 스타들의 옷장을 탐방하고 패션에 대해 더욱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

또한 옷장 대결 방식 역시 게스트가 소장하고 있는 키 아이템을 활용한 맞대결로 변경돼, 한층 스타일리시하고 다채로운 스타일링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편, 시즌2 첫 번째 게스트로는 뷰티 사업가이자 인플루언서로 활약하고 있는 김수미가 출격한다. 2030 스타일 아이콘으로 각광받고 있는 김수미는 미니멀리즘과 멋스러움이 공존하는 옷장을 전격 공개할 예정.

또한 김수미의 최애템인 '그레이 니트'를 키 아이템으로 해 김나영-김원중이 각기 다른 스타일링을 제안한다고 해 궁금증을 높인다.

넷플릭스 '옷장전쟁2'는 오는 20일(월)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5시에 공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