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한중일 청소년 42명 ‘케이팝 제주여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8 12:15:12
  • -
  • +
  • 인쇄
제주돌문화공원·해녀박물관·김녕해수욕장 일원서 ‘돌·바람·여자’ 주제 케이팝 커버댄스 진행
▲ 제10회 한중일 청소년문화예술캠프

[뉴스스텝] 제주의 상징인 ‘돌·바람·여자’가 한중일 청소년들의 케이팝(K-pop) 무대로 변신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5일부터 7일까지 제10회 한중일 청소년문화예술캠프를 개최해 한중일 청소년 42명이 제주 곳곳에서 케이팝 커버댄스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의 무대는 제주만의 독특한 장소들이었다. 제주돌문화공원에서는 ‘돌’을 테마로 한 팀이, 김녕해수욕장 풍력발전기 앞에서는 ‘바람’ 팀이, 해녀박물관에서는 ‘여자’ 팀이 각각 춤사위를 펼쳤다.언어는 달라도 음악과 춤으로 하나되는 모습이 제주의 아름다운 풍경과 어우러졌다.

올해로 10년째를 맞은 한중일 청소년문화예술캠프는 2016년 제주가 중국 닝보, 일본 나라시와 함께 동아시아문화도시 파트너도시로 선정되면서 시작된 뜻깊은 국제문화교류 무대다.

올해 제주에서는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20명의 학생이 참가했고, 닝보 10명, 나라 8명, 도쿄 4명 등 케이팝 댄스에 관심있는 청소년들이 참가했다.

제주 학생들은 캠프 참가 전 ‘동아시아 제주문화클래스’에서 제주 고유문화를 미리 학습했다. 현장에서는 한중일 청소년들이 ‘틀림이 아닌 다름’이라는 철학 아래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도내 댄스 전문가 강창현 씨가 멘토로 나서 3개 팀을 지도했다. 각 팀은 제주의 대표 명소에서 촬영을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제주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는 홍보대사 역할을 했다.

이번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 등 70여 명이 탐라문화광장에 모여 원도심을 알리고 지역상권을 활성화하는 계기도 마련했다.

성과발표회에는 첸 지안쥔 주제주 중국 총영사와 이케다 요오이치 주제주일본국 총영사도 참석했다. 이들은 “문화교류를 통해 3국이 하나 되는 모습을 보니 앞으로가 더욱 기대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중일 청소년들은 제주문화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은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류일순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도내 청소년들이 제주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세계무대에서 당당히 문화교류에 나서길 바란다”며 “청소년들을 위한 국제문화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2016년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 10년째를 맞이하는 올해, 현재 39개 한중일 교류도시가 다채로운 문화예술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홍천교육지원청,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홍천교육지원청은 11월 6일 교육지원청 소회의실에서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운영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로, 각급 학교 건의 사항에 대한 부서별 검토 및 논의가 이루어졌다. 홍천교육지원청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학교 현장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내실

강원도의회 김기하 의원 (교육위) AI를 포함한 디지털 분야 진로교육 다양화 해야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직속기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가 6일 오전 진로교육원과 국제교육원을 필두로 실시됐다. 김기하 의원(국민의힘, 동해2)은 진로교육원에 대한 행감질의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AI, 반도체 분야에 대한 강원학생들의 진로 탐색 확대 필요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미래 여러 직업군이 AI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에 대

경북교육청, 교육부와 함께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 실시

[뉴스스텝] 경북교육청은 6일, 교육부와 함께 김천시에 있는 운남중학교를 방문해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과학실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경북교육청과 교육부 담당자와 학교 관리자, 과학실 담당 교사 등이 함께 참여해 과학실 내부 시설과 안전 장비를 직접 확인하며 진행됐다. 주요 점검 항목은 △안전관리계획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