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이귀순 의원“'시민 빚으로 메우는 추경.... 광주시, 재정운영 원칙 무너뜨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5 11:20:43
  • -
  • +
  • 인쇄
의회 무시한 지방채 남발… “중기재정계획도, 사전 설명도 없었다”
▲ 광주광역시의회 이귀순 의원“'시민 빚으로 메우는 추경.... 광주시, 재정운영 원칙 무너뜨려”

[뉴스스텝] 광주광역시의회 이귀순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구4)은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광주시가 사전 설명 없이 지방채를 남발하고 중기지방재정계획에도 없는 채무편성을 일방적으로 진행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귀순 의원은 “본예산 당시 지방채 발행 한도는 4,443억 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추경에서는 돌연 5,141억 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며, “이는 총칙 변경도, 의회 보고도 없이 진행된 것으로 심의권을 명백히 침해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번 추경의 지방채는 약 3,138억 원 규모에 달하며, 대부분은 고금리 차환 목적이지만 상당수는 본예산에서 시비로 편성됐던 사업을 지방채로 대체한 것이다.

이 의원은 “세입 부족을 이유로 지방채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행정 편의주의가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문제는, 이번 추경에서 지방채를 발행한 대부분의 사업이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재원배분계획상 ‘지방채 발행’으로 명시된 사업은 일부에 불과하며, 이번에 지방채를 투입한 주요 사업들은 계획에서 누락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예산 구조나 재원 조달 방식을 변경했다면, 의회에 사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는 것이 최소한의 절차”라며, “이번 추경에서는 이에 대한 방문 설명이나 구체적인 보고 없이 일방적인 변경이 이뤄졌다”고 강한 유감을 표했다.

아울러 본예산에 시비로 편성했던 예산을 지방채로 바꾼 뒤, 기존 시비 예산의 행방이 불투명한 '예산 돌려쓰기' 의혹도 제기됐다.

대표적으로, 신활력추진본부의 월봉서원 사업은 시비 15억 원이 지방채 37억 원으로 전환됐으나, 기존 시비가 어떻게 처리됐는지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귀순 의원은 “지방채는 결국 시민이 갚아야 할 빚인 만큼, 재정운영은 계획성과 투명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며, “의회를 단순한 절차 통과 기구로 여기고 설명 없이 예산을 바꾼다면, 광주시 재정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강하게 경고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해남군, 전남도 전지훈련 유치 실적평가 12회 연속 수상

[뉴스스텝] 해남군은 2025년 전라남도 전지훈련 유치실적 평가에서‘장려상’을 수상했다.이는 도내 유일하게 12회 연속 수상이다. 해남군은 16개 전국단위 대회 5만 2,000명, 전지훈련 선수단 3만 9,000명 등 총 9만1,000명의 스포츠 선수단이 해남을 찾으면서 도내 3번째로 많은 선수단을 유치했다. 2026년부터 생활인구가 지방교부세 산정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으로, 해남군의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전북자치도, 특별지자체 실효성 확보 위한 3대 개편 방향 제시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가 28일 특별지방자치단체 활성화 방안 토론회를 열고, 특별지자체가 형식적 제도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을 갖추기 위한 재정·조직·사무 3대 개편 방향을 집중 논의했다.이번 토론회는 특별지자체가 기초자치단체 간 경계를 넘어 공동 현안을 해결하고 광역 단위 협력행정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 모델이라는 점에서 마련됐다. 특히 ‘지역 주도 행정체제 개편’이라는 제도 취지를 살리면서, 기초지자

달성군 참꽃갤러리,도원주 개인전 ‘LIFE IS ART’ 개최

[뉴스스텝] (재)달성문화재단은 참꽃갤러리 하반기 전시지원사업의 마지막 전시로 오는 12월 8일부터 24일까지 도원주 작가의 개인전 ‘LIFE IS ART’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도원주 작가는 자연과 인간의 일상이 교차하는 장면을 따뜻한 시선으로 포착하며 그 속에서 삶의 본질과 시간의 흐름을 탐구해왔다. 그의 작품은 계절의 변화와 생명력이 깃든 풍경을 담아내며 도시의 회색빛 일상 속에서도 잔잔한 온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