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1593 전주별시’ 전주한옥마을에서 재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1:20:42
  • -
  • +
  • 인쇄
과거시험(국궁, 한글 글짓기, 한시), 축하공연, 방방례, 급제자 유가행렬 및 사은숙배 등 진행
▲ ‘제8회 1593 전주별시 재현행사’ 포스터

[뉴스스텝] 조선시대 전주에서 치러졌던 특별 과거시험인 ‘전주별시(別試)’가 올해도 전주한옥마을에서 재현된다.

전주별시는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며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당시, 이듬해인 1593년 세자 광해가 분조(分朝)해 전주에서 직접 시행한 특별 과거시험으로, 문과 9명과 무과 1000여 명을 선발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전주시는 22일 전주전통문화연수원과 경기전 등 전주한옥마을 일원에서 ‘제8회 1593 전주별시 재현행사’를 개최한다.

시는 전주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난 2017년부터 ‘1593 전주별시’ 재현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올해는 △과거시험(국궁(國弓), 한글 글짓기-산문/운문, 한시(漢詩)) △방방례(시상식) △급제자 유가행렬(遊街行列) △사은숙배(謝恩肅拜)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꾸민다.

초·중등부 국궁(國弓)은 행사 당일 개인전(초등 저학년부, 초등 고학년부, 중등부)과 단체전(초·중등 혼합팀)으로 치러지며, 궁도 교육을 이수한 전국의 초·중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초등부 한글 글짓기는 산문(기행문, 수필, 편지)과 운문(동시, 시조)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원하는 형식을 한 가지 선택하면 된다. 시제는 ‘전주에서 보낸 특별한 하루’와 ‘문화의 도시 전주’ 중 한 가지를 선택해 원고를 우편으로 제출하면 사전 심사를 거쳐 행사 당일 시상식이 진행된다.

한시 지상백일장의 올해 시제는 ‘全州別試(전주별시)’이고, 압운은 眞(진), 新(신), 珍(진), 彬(빈), 伸(신)이다. 참여 희망자는 전주전통문화연수원 누리집에서 칠언율시(七言律詩) 형식의 원고를 내려받아 작성해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한글 글짓기와 마찬가지로 사전 심사를 거쳐 행사 당일 시상식이 거행된다.

모든 과거시험이 종료된 후에는 과거급제자에 대한 시상식인 방방례(放榜禮)가 진행된다. 급제자에게는 시장상과 어사화가 수여되며, 부상으로 상금이 주어진다.

또한 시상식 이후에는 과거급제자가 어사화를 머리에 꽂고 채점관과 선배, 친족을 방문하는 전통인 ‘유가행렬(遊街行列)’이 전주전통문화연수원에서 시작해 은행로, 태조로, 경기전으로 이어진다. 유가행렬에는 전북대학교 국악과 전공 학생들로 구성된 취타대와 (사)전통문화마을의 기수대, 한옥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풍물패 등이 함께한다.

급제자들이 경기전에 도착하면 왕(태조어진)에게 과거 급제를 알리고 감사 인사를 전하는 ‘사은숙배(謝恩肅拜)’가 행해진다.

국궁대회 참가 신청 및 한글 글짓기·한시 원고 접수 기간은 오는 20일부터 오는 11월 7일까지이다.

전주시 한옥마을사업소장은 “전주별시는 나라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했던 역사적 사건으로, 그 의미를 오늘의 시민들과 나누고 싶다”면서 “이번 재현행사를 통해 전주의 전통과 가치를 직접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제주시, ‘2025 인구주택총조사’ 조사원 사전교육 실시

[뉴스스텝] 제주시는 10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진행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를 앞두고 조사에 참여할 조사원 247명을 대상으로 사전교육을 실시한다.이번 교육은 10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대강당에서 조사절차, 태블릿 활용법, 현장 안전수칙 등 현장 실무 중심의 내용으로 진행된다.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는 국가 통계조사로 인구와 주거 실태를 파악해 복지·교육·

대구남부교육지원청, ‘상호 존중 조직문화 조성 캠페인’ 개최

[뉴스스텝] 대구남부교육지원청은 10월 14일 남부교육지원청 청사에서 직원들과 함께 ‘2025년 상호 존중 조직문화 조성 캠페인’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행사는 ‘남을 존중하는 마음은 UP, 부정부패는 ZERO, 남부교육!’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됐으며, 직원들은 먼저 웃으며 인사하기, 서로 존중하는 말 사용하기, 대화로 소통하기, 배려의 말 건네기 등 상호 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실천과제를 구호로 외치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김용래 도의원, 강원특별자치도 화물자동차 휴게시설 확충 지원 조례안 상임위 통과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안전건설위원회 김용래 의원(국민의힘, 강릉3)이 발의한 '강원특별자치도 화물자동차휴게시설 확충 지원 조례안'이 소관 상임위 심사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화물자동차 운수종사자들의 근로 여건 개선과 도민의 교통안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내 화물자동차 휴게시설 확충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조례안 주요 내용에는 △도지사의 화물자동차 휴게시설 확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