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백련암, 홍련암’ 소장 불교경전 4건, 경상남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1 11:15:14
  • -
  • +
  • 인쇄
성철스님이 소장했던 국내 유일본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
▲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21일'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와'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도 유형문화유산으로,'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 및 조동오위요해 합부'와'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 제12'를 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했다.

이 중 합천 해인사 백련암 소장 불교 경전 3건은 조계종 종정과 해인총림의 초대방장을 지낸 성철스님(1912〜1993)이 소장하고 있던 것이다.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는 중국 당나라 말기 선승(禪僧) 동안상찰이 지은 십현담(十玄談)을 조선전기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 간략히 풀이해'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를 지었고 이것을 한글로 풀어 놓은 언해본이다.

1548년(조선 명종 3)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에서 간행했다. 국가가 설립한 불경 한글 번역 출간 기관인 간경도감(1461〜1471) 폐지 이후의 인쇄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현재까지 동일본이 확인되지 않은 유일본으로서 희소성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높아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및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합부'는 조선전기 김시습이 저술했다.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선시(禪詩)인 ‘십현담’을 쉽게 풀이한 ‘십현담요해’와 중국 선종의 일파인 조동종(曹洞宗)에 관한 내용을 해석한‘조동오위요해’의 합본(合本)으로 15세기 조동종의 사상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양호하지 않은 보존상태 등으로 인해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됐다.

'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제12'(佛說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 卷第12)는 고려 고종 30년(1243년) 대장도감(1236〜1392)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판을 인출한 것으로, 종이 질과 인쇄상태를 통해 조선시대 인경본으로 추정된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후대에 수리가 이뤄진 점 등을 고려해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됐다.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은 해인사 주지와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낸 지관스님(1932 〜 2012)의 소장품이다. 통상 ‘금강경’이라 불리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이며 조선 명종 19년(1564) 황해도 구월산 패엽사에서 간행했다.

상단에 그림을, 하단에 본문을 기술했으며,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어받아 고려시대본과 구성 형식과 내용이 거의 같다. 변상도와 함께 장마다 삽화가 수록된 판화본으로 희소성이 높고 불교사나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어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한'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와'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문화유산 4건은 30일의 예고 기간 중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정곤 경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지정 예고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충분히 밝혀진 문화유산을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해 보존·관리하기 위한 절차”라며, “앞으로도 도내 우수한 문화유산을 계속해서 발굴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남도, 자활사업 발전을 위한 민‧관 워크숍 개최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11~12일 산청한방가족호텔에서 ‘2025년 지역자활센터 종사자 및 담당공무원 워크숍“이 열렸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자활사업 현장 담당자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경남도의 자활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공유와 발전방안 논의, 자활사업 종사자 및 관련 공무원의 전문지식 함양과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경상남도와 경남광역자활센터, (사)경남지역자활센터협회 공동 주관으로 진행됐다. 도내 20

광주도시공사, 부패사건 공판 참관 시행

[뉴스스텝] 광주도시공사(사장 김승남)는 지난 10일 광주지방법원에서 반부패·청렴 의식 제고 및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법원 견학과 부패사건 공판 참관 프로그램을 시행했다고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청렴·윤리 담당자 등 20여 명이 참여했으며, 법원 견학과 홍보영상 시청을 시작으로 실제 진행 중인 재판에 참석해 재판 과정을 직접 체험했다.이후 진행된 ‘판사와의 대화’ 시간에는 재판업무와 직업윤리 의식 등에

김용성 경기도의원 “한방 난임지원사업 감액 우려… 양방과 함께 가야”

[뉴스스텝] 11일,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용성 의원(더불어민주당, 광명4)은 2025년도 제2회 경기도 보건건강국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한방 난임사업 예산 감액안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경기도 보건건강국은 난임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임신ㆍ출산 과정의 장애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추경안에 난임부부 시술비(양방) 지원사업 예산으로 17억 3천만 원을 증액 편성했다. 난임가정의 현실적 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