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 테마전시 '이 많은 토기가 왜 우물에 빠졌을까?' 개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8 11:15:12
  • -
  • +
  • 인쇄
백제왕성 우물에서 건져 올린 토기로 백제인들의 제사문화 엿보는 기회
▲ 2024년 하반기 테마전시 '이 많은 토기가 왜 우물에 빠졌을까?' 포스터

[뉴스스텝]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2024년 하반기 테마전시 '이 많은 토기가 왜 우물에 빠졌을까?'를 6월 28일~7월 28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08년 풍납동 ‘경당지구’를 조사하면서 발견된 206호 우물과, 우물 안에서 수습한 토기 200여 점을 선보이는 동시에 백제인의 제사 문화를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206호 우물’은 한신대학교 박물관이 서울역사박물관의 의뢰를 받아 2008년 2월 25일 ~ 2008년 8월 11일 진행한 ‘풍납1동 136번지 경당지구’ 조사 과정에서 발견됐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은 ‘우물 속 토기’이다. 고대인, 특히 1,500년 전 백제인들에게 우물은 용이 드나드는 신성한 통로이며 하늘의 뜻이 나타나는 공간이었다. 또한 우물에 간절한 바람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206호 우물이 왕성 안, 특히 제사 관련 시설이 밀집된 구역에서 발견됐다는 점과 우물 안에 입이 깨진 대량의 토기가 인위적으로 차곡차곡 묻혀있었던 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해석했다.

특히 한성백제박물관과 한신대학교 박물관의 협력으로 그동안 각 박물관 전시실 일부에만 전시됐던 206호 우물 출토 토기를 한 자리에 모았다. 전시는 206호 우물의 숨겨진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우물의 발견부터 토기의 수습 과정까지,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구성했다. 전시는 1부 '206호 우물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2부 '206호 우물은 어디에서 발견됐나?' ▴3부 '206호 우물은 어떻게 생겼을까?' ▴4부 '206호 우물에서 무엇이 나왔을까?' ▴5부 '206호 우물에 담긴 소망은 이루어졌을까 ?' 순서로 이어진다.

전시의 내용을 흥미롭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픽토그램 활용 패널과 애니메이션 영상 등을 골고루 활용했다. 다양한 전시물들을 통해 나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일부러 토기의 입 주변을 깨고 정성스럽게 쌓아 올리며 나라의 안정과 평화를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과정들을 생생하게 구현해 낼 예정이다.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은 “고대인에게 있어 우물이란 식수 공급처였을 뿐만 아니라 나라의 평화를 기원하는 ‘신성한 공간’이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많은 시민 여러분들이 백제인들의 정신세계와 의례문화를 쉽고 흥미롭게 접하시길 바란다.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선보여 백제 역사에 대한 이해를 폭넓게 확장시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홍천교육지원청,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홍천교육지원청은 11월 6일 교육지원청 소회의실에서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임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홍천군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운영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로, 각급 학교 건의 사항에 대한 부서별 검토 및 논의가 이루어졌다. 홍천교육지원청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학교 현장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내실

강원도의회 김기하 의원 (교육위) AI를 포함한 디지털 분야 진로교육 다양화 해야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직속기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가 6일 오전 진로교육원과 국제교육원을 필두로 실시됐다. 김기하 의원(국민의힘, 동해2)은 진로교육원에 대한 행감질의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AI, 반도체 분야에 대한 강원학생들의 진로 탐색 확대 필요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미래 여러 직업군이 AI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에 대

경북교육청, 교육부와 함께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 실시

[뉴스스텝] 경북교육청은 6일, 교육부와 함께 김천시에 있는 운남중학교를 방문해 ‘과학실 안전 점검 및 컨설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과학실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경북교육청과 교육부 담당자와 학교 관리자, 과학실 담당 교사 등이 함께 참여해 과학실 내부 시설과 안전 장비를 직접 확인하며 진행됐다. 주요 점검 항목은 △안전관리계획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