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죽산면 논 한가운데서 연 ‘낯선 축제’성공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5 10:20:33
  • -
  • +
  • 인쇄
죽산삼거리에서 지금껏 없던 ‘오늘의 평야 - 제0회 마을잔치’해냈다
▲ 오늘의 평야-제0회 마을잔치

[뉴스스텝] 김제시는 지난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간 죽산면 홍산리 인근 논에서 ‘오늘의 평야 제0회 마을잔치’(부제: 나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싶은 걸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로컬팀 ‘fld·오늘의 평야(대표 최별)’와 김제농촌활력센터(센터장 최재문) 함께 했으며, 약 800명이 참여한 가운데 낯설지만 매력적인 논바닥 마을축제를 구현해 마을잔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이번 마을잔치는 논을 그대로 무대로 삼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논바닥을 활용해 프로그램 대부분을 논 위에서 진행해 방문객이 흙을 밟으며 농촌의 일상과 로컬 문화를 온몸으로 느끼도록 했으며, 플리마켓과 F&B존도 인근 카페 뒤편과 논 가장자리에 배치해, 논과 마을 풍경이 어우러진 축제장을 연출했다.

1일차에는 김장체험, 주민 노래자랑과 난타공연, 조퇴계 편집장의 북토크, 평야 음감회가 이어졌고, 2일차에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준비한 쪽파 담그기와 농악 퍼포먼스, 죽산 로컬스쿨에서 길러낸 창업팀이 무대에 오르는 ‘로컬스쿨 창업데모대회’가 열려 선배 창업가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사업 아이템을 평가하고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이번 축제는 죽산삼거리 일대에서 추진해 온 여러 로컬 프로젝트의 결실이라는 점도 의미가 크다.

시는 청년 창업 지원, 청년로컬 재생 복합문화공간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이번 논바닥 마을잔치는 이러한 공간과 인프라, 청년·주민 네트워크를 한데 묶어낸 첫 실험형 축제다.

특히 이번 축제는 중소벤처기업부 ‘로컬브랜드 창출팀’ 공모에 선정된 죽산삼거리 사업의 출발점으로, 김제시는 2026년 복합문화공간 조성, ‘논바닥 캠핑축제’ 등 후속 프로그램을 통해 논바닥 마을잔치를 김제형 로컬 브랜드 축제로 키워갈 계획이다.

정성주 시장은 “제0회라는 이름처럼 이번 마을잔치는 실험적인 첫 걸음이지만, 논과 마을, 청년과 주민이 함께 만들어낸 지금껏 없었던 새로운 축제 모델”이라며 “향후 죽산삼거리를 김제 로컬문화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시민과 관광객이 일상처럼 찾는 체류형 마을축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강릉시, “기다림이 바뀐다” 스마트 버스 승강장 전격 운영

[뉴스스텝] 강릉시가 다양한 체감형 ITS 서비스 제공을 통해 2026 강릉 ITS 세계총회 성공개최 준비와 미래 교통 선도도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교통약자와 시민 모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강릉노인종합복지관 스마트 버스 승강장 등 4개소를 26일부터 정식 운영한다. 이번에 운영을 시작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은 냉난방 시스템, 온열 의자, 에어커튼, 자동문, 미세

청주시, 지북‧미원‧낭성정수장 정수처리기준 전면 충족

[뉴스스텝] 청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북·미원·낭성정수장이 올해 1월부터 현재까지 실시한 모든 정수처리 기준을 100% 충족했다고 26일 밝혔다.정수처리 기준은 수질검사만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바이러스나 지아디아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수돗물에 섞이지 않도록 관리하는 기준이다. 즉, 정수장을 운영·관리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안전장치다.상수도사업본부는 환경부 기준(불활성비 1 이상)에 따라 소독능(CT 값)

영동군자원봉사센터 담이랑봉사단, 추풍령면 도계공원 포토존 설치

[뉴스스텝] 충북 영동군자원봉사센터의 담이랑봉사단(회장 정수인)은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여가․소통 공간 마련을 위해 추풍령 도계공원 내 포토존 설치 사업을 추진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2025 영동군자원봉사센터 우수프로그램 사업의 일환인 담이랑봉사단의 ‘포토존 설치 사업’으로 진행됐으며, 감나무봉사단과 아침해봉사단이 함께 참여해 힘을 보탰다. 단원들은 공원 내 포토존 구조물 설치, 주변 환경정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