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도 눈물도 없이' 김경희 작가, '자매-운명-잔혹동화' 작품 키워드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6 10:15:42
  • -
  • +
  • 인쇄
▲ 피도 눈물도 없이

[뉴스스텝] ‘피도 눈물도 없이’의 김경희 작가가 이번 작품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오는 22일(월) 첫 방송되는 KBS 2TV 새 일일드라마 ‘피도 눈물도 없이’(연출 김신일, 최정은 / 극본 김경희 / 제작 몬스터유니온)는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으로 헤어진 자매가 운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다시 만나 파국으로 치닫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실제로 “지인 중에 사고뭉치 언니 때문에 평생을 고생한 친구가 있다”고 밝힌 김경희 작가는 “ ‘언니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결혼을 선택했지만, 또다시 가족으로 만난다면, 이보다 더한 악연이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자매가 고부로 만나 갈등한다’는 소재를 찾았다”고 ‘피도 눈물도 없이’를 쓰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김 작가는 이어 “가족이라는 전통적인 가치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 희생과 충성을 강요받아 온 가족적 가치, 그 안에서 희생되거나 파괴된 피해자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가해자가 된 적은 없었는지 한 번쯤 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도 덧붙였다.

한편 ‘피도 눈물도 없이’를 설명할 수 있는 키워드로 ‘자매’, ‘운명’, ‘잔혹동화’를 뽑은 그녀는 이와 관련 “혜원이 언제 도은이가 자기 동생이란 걸 알게 되는지, 도은은 혜원에게 용서받을 수 있을 것인지, 또 성윤은 혜원의 마음을 열 수 있을 것인지를 생각하시면서 작품을 봐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특별하게 마음이 가는 캐릭터에 대해서도 밝힌 김 작가는 “모든 인물에 대한 애정은 비교할 수 없지만 한 명만 꼽으라면 ‘영원히 시들지 않는 꽃’ 윤이라 캐릭터다. 중년의 나이에 아들까지 있는 엄마지만 정신연령은 여전히 십 대나 이십 대에 멈춰 있고 하는 짓은 꼴불견에 밉상이지만 천진하고 단순한 ‘멍뭉미’ 가 그것을 능가해 볼수록 매력 있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작가는 ”재밌는 드라마, 신선한 드라마로 남아 연속극에 대한 호감과 애정이 조금 더 상승하길 바라본다“고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갈등과 상처 그리고 핏빛 복수를 꿈꾸는 파란만장한 가족 스토리의 KBS 2TV 새 일일드라마 ‘피도 눈물도 없이’가 ‘우아한 제국’ 후속으로 오는 22일(월) 저녁 7시 50분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함께 만드는 따뜻한 세상, 복지로 희망을~! 부산 중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

[뉴스스텝] 부산 중구는 지난 7일 중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민간위원장 김병현) 위원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에는 구 대표협의체, 실무협위체 및 실무분과 위원들과 9개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들이 참여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방안 강의를 통해 위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함께하는 복지공동체로 더욱 성장하기 위한 소통과 화합의 시간을 가졌다.김병현 중구지역사회보장협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중구지회 역사탐방 및 추계수련대회 개최

[뉴스스텝]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중구지회(회장 정정석)는 지난 9일 회원 120여 명이 참석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과 자유민주주의 가치 확산을 위해 ‘역사탐방 및 추계수련대회’를 경남 거창군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경남 거창군에 소재한 거창사건추모공원을 찾아 민간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참혹했던 역사적 비극을 되새기며 자유와 인권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어 회원들은 거창 출렁다리

안양시, ‘2025 가족센터 사업보고회 및 한국어교육 수료식’ 성료

[뉴스스텝] 안양시는 지난 7일 안양시 가족센터 3층에서 ‘2025년 가족센터 사업보고회 및 한국어 교육 수료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0일 밝혔다.안양시 가족센터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 참여자, 자원봉사자,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 해 동안 추진했던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활동을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또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한국어교육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