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어울림마당 축제 ‘썸머워즈’로 무더위를 날렸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8 10:15:03
  • -
  • +
  • 인쇄
▲ 사천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어울림마당 축제 ‘썸머워즈’로 무더위를 날렸다.

[뉴스스텝] 사천시 복지⋅청소년재단(박재령 대표이사)은 청소년의 건전한 축제문화를 지원하기 위해 개최한 사천시청소년어울림마당 축제 ‘썸머워즈’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썸머워즈는 이름 그대로 더위에 맞서 이기자라는 주제로 지난 26일 17시부터 사천시청소년수련관 앞마당을 중심으로 개최됐다.

여름의 활기를 느낄 수 있는 다채로운 6개 부스 및 기부금을 위한 플리마켓 1개 부스를 운영했으며, 여름 무더위를 날려버릴 멋진 지역 청소년들의 무대공연도 펼쳐졌다.

총 9개의 청소년 동아리가 참여해 1시간 20분 동안 운영한 6개 부스는 다북다북의 ‘나만의 바디 스티커 체험’, O2,T-star의 ‘쿨쿨 아이스크림 나눔’, EV의 ‘찰칵!포토부스’, 힐러의 ‘톡톡!콤부차 만들기’, 넛지,NPNG의 ‘동글동글 도넛나눔’, 고수련, JBS의 ‘해적 팡!룰렛게임’ 등이다.

그리고, 기부금을 위한 플리마켓 부스는 사천시청소년참여위원회인 해봄이 운영했으며, O2,T-star,넛지,NPNG,고수련,JBS는 안전과 청결관리를 담당해 안전하고 깨끗한 축제가 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탰다.

사천시청소년어울림마당은 청소년기획단이 직접 기획·운영·진행·평가까지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운영하며 청소년이 주인공이 되는 청소년 축제라는 행사 취지에 깊이를 더하고 있다.

이번 행사 진행도 청소년들이 직접 또래 친구들을 소개하며 관객들에게 뜨거운 호응과 박수를 이끌었다.

무대공연은 청소년동아리 ‘락동’의 길놀이 및 판굿으로 시작을 알렸고, 청소년동아리 ‘SWEAR’, ‘별무리’, ‘NYB’, ‘HODY’, ‘활주로’, ‘화양연화’, 6개 밴드팀이 다양한 곡을 연주했다.

그리고, 청소년 동아리 ‘NEW’,‘DAZZLE’, ‘크라운’, ‘D&F’, ‘CHECK’가 멋지고 파워풀한 댄스무대를 선보이며 또래 친구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고 생기 넘치는 에너지를 전달했다.

이번 축제에 참가한 청소년들은 “너무 즐거웠고 재밌었던 행사였어요!또래 친구들과 함께 이런 축제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너무 감사한 하루였고 사천시청소년수련관 선생님들과 고생한 친구들에게도 고마웠다고 말해주고 싶어요!‘라고 소감을 남겼다.

박재령 대표이사는 “2025년 마지막 어울림마당으로 10월 25일 개최되는 단풍노리 또한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부안군, 수확기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확산 대비 마을 단위 집중 캠페인 전개

[뉴스스텝] 부안군농업기술센터는 진드기 활동이 최고조에 달하는 10월 수확기를 맞아 농업인을 대상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과 쯔쯔가무시증 등 치명적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주로 늦봄부터 가을까지 발생하지만 특히 10월 이후 환자 수가 급증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3년간 전국 통계에 따르면 SFTS는 연평균 약 250명 내

너와 내가 하나 된 2025 안성시청소년어울림마당 '너나들이' 성황

[뉴스스텝] 2025 안성맞춤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열린 가운데 청소년들의 끼와 열정이 폭발하며 축제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지난 10월 11일 열린 ‘2025 안성시청소년어울림마당’ 세 번째 장 ‘너나들이’는 2시간 동안 현장과 온라인을 잇는 무대로 펼쳐졌다. 청소년들의 다채로운 끼와 재능이 바우덕이 축제 세 번째 날의 열기를 한층 뜨겁게 달궜다. 이날 행사는 미래위원회 한예진‧홍지아 청

의왕시, 2025년 제12회 의왕한글한마당 성료

[뉴스스텝] 의왕시가 광복 80주년이자 한글날 공식 지정 80주년을 맞아 10월 12일 갈미한글공원에서 개최한 '제12회 의왕한글한마당'이 행사장을 찾은 3천여 명의 시민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이번 행사는 갈미한글축제위원회, 의왕시작은도서관협의회, 새마을문고의왕시지부가 공동 주관했으며, 관내 10개 마을공동체와 17개 작은도서관 운영자, 안양대학교 국어문화원 등 민관학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