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팥죽 먹고 새해 복 받고! 남산골·운현궁 동지 맞이 행사 열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7 10:15:17
  • -
  • +
  • 인쇄
누구나 무료로 사전 예약 없이 참여 가능…시 “전통문화 체험하며 건강하게 한 해 마무리하시길”
▲ 남산골 세시울림 동지 '동지섣달' 홍보물 ⓒ남산골한옥마을

[뉴스스텝] 서울시는 오는 12월 21일 동지를 맞아 서울시 대표 전통문화공간인 남산골한옥마을(중구 퇴계로34길 28)과 운현궁(종로구 삼일대로 464)에서 각각 전통 세시풍속을 체험할 수 있는 동지 특별 행사를 마련했다.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 두 번째 절기로 일 년 중 가장 밤이 긴 날이다. 동지가 지나면 양의 기운이 새롭게 시작된다고 하여 예로부터 조상들은 동지를 ‘작은 설’이라 부르고 가족과 이웃 간 행복과 화합을 기원하는 세시 풍속을 즐겼다.

먼저 남산골한옥마을에서는 ‘남산골 세시울림 동지섣달’ 행사를 마련했다.

동지팥떡과 2025년 탁상달력 나눔을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진행하고 부적만들기, 소원쓰기, 동지사진관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특히 옥인동윤씨가옥에서는 전통방식의 ‘동지부적만들기’와 ‘동지소원쓰기’ 체험이 진행된다. 체험행사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이번 동지행사 '동지섣달'은 음력 동짓달(11월)과 섣달(12월)을 아우르는 제목을 붙였다. 섣달은 ‘설이 든 달’로 옛사람들은 동지를 새해 첫 날로 여기기도 했다. 한 해의 마지막 절기이자 새해의 시작인 동지에 남산골한옥마을이 준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 하여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해의 복을 기원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운현궁에서는 '2024 운현궁에서 맞이하는 작은 설, 동지' 행사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열린다. 11시 30분부터는 팥죽 나눔 행사를 열고 한지 팥버선 만들기, 달력 포스터 색칠하기, 전통놀이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또한 ‘푸른 뱀의 해’ 2025년 일러스트 포스터 달력도 선착순으로 배부한다. 부적 찍기, 활쏘기, 투호놀이, 딱지치기 등 즐거운 전통문화와 놀이 체험도 가능하다.

모든 체험은 무료로 진행하며, 선착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남산골한옥마을과 운현궁의 동지행사와 관련된 상세 정보는 각 시설 누리집(홈페이지)과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건태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장은 “동지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액운을 떨치고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 깊은 절기”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2024년을 마무리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안성시 체육시설, 대설 피해 복구를 마치고 새롭게 출발!

[뉴스스텝] 안성시는 지난해 11월 기록적인 폭설로 피해를 입었던 관내 공공체육시설 12개소의 복구를 2025년 10월 말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11월부터 정상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안성시를 강타했던 기록적인 대설은 시민들의 소중한 일상은 물론, 관내 공공체육시설의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아픔을 남겼다. 이에 시는 신속하고 체계적인 복구작업에 매진하여 시민들의 간절한 기다림에 부응했다.이번 복구사

남양주시복지재단, 시립한별어린이집 '오늘부터 나눔시장' 바자회 수익금 기부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10월 31일 별내동 시립한별어린이집이 시청 본관 1층에서 나눔문화 캠페인 ‘오늘부터 나눔시장’의 일환으로 ‘한별사랑 바자회’ 수익금 209만 5천 원을 남양주시복지재단에 전달했다고 밝혔다.이번 전달식은 시청에서 진행된 나눔 교육을 마친 후 열렸으며, 기탁된 성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시립한별어린이집은 지역주민,

영천시, 장기재직자 대상 ‘인생2막 디딤돌 교육’ 실시

[뉴스스텝] 영천시는 3일부터 7일까지 4일간 장기재직자를 대상으로 제주도 일원에서 ‘인생2막 디딤돌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퇴직을 앞둔 장기재직자들이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데 실질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래 설계 교육 등 실용적인 내용으로 구성돼, 퇴직 이후 행복하고 의미 있는 삶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30여 년간 공직생활을 함께한 참여자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