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팟캐스트 ‘북크북크’, 김탁환 작가 인터뷰 방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30 09:25:04
  • -
  • +
  • 인쇄
11월 4일 방송…작품 창작의 동력이 된 ‘남도의 매력’ 듣다
▲ 김탁환 작가와 인터뷰 사진

[뉴스스텝] 전라남도교육청이 독서인문교육 활성화를 위해 제작하고 있는 십만독자팟캐스트 북크북크 ‘작가와의 만남’ 11월 편에 『참 좋았더라-이중섭의 화양연화』의 저자 김탁환 작가를 만난다.

북크북크의‘작가와의 만남’은 교육가족들이 만나고 싶어 하는 작가를 초청해 작품세계·삶의 이야기를 나누는 특별 프로그램이다.

지난 9월에는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작가와의 대담을 방영해 큰 호응을 이끈 바 있다.

11월 4일 공개되는 ‘김탁환 작가와의 만남’편에는 곡성 미실란 들녘을 배경으로, 김 작가의 마음을 사로잡은 전남의 매력을 들어볼 수 있다.

그는 작가로서, 또 책방지기로서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와 신간 『참 좋았더라-이중섭의 화양연화』를 쓰며 느낀 소회를 전남 학생들에게 잔잔하게 들려줄 예정이다.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의 원작자인 김탁환 작가는 섬진강 들녘의 아름다움에 매료돼 지난 2021년 곡성 미실란에 집필실을 마련했고 현재는 생태책방‘들녘의 마음’을 운영하며 농사와 글쓰기를 병행하고 있다.

곡성에서의 삶은 곧 작품이 됐다.

초보 농부이자 마을소설가로서 섬진강 옆 집필실에서의 하루하루를 기록한 『섬진강 일기』와 미실란 이동현 박사와의 인연을 담은『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가 그의 대표작이다.

특히 곡성군, 곡성성당을 배경으로 ‘정해박해’를 다룬 장편소설 『사랑과 혁명』, 그리고 화가 이중섭의 예술사를 조명한 『참 좋았더라-이중섭의 화양연화』는 곡성 집필실에서 탄생한 작품이라 의미를 더한다.

북크북크 제작을 맡은 김성휘 교사(무안행복초)는 “책을 읽고 궁금했던 점, 작품의 뒷이야기를 나누는 ‘작가와의 만남’은 작가와 독자 간 소통의 창구가 되고 있다. 앞으로도 전남을 대표하는 문인들을 초청해, 지역 작가들을 알리고 책을 매개로 한 소통을 확장해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박준 미래교육과장은 “우리 전남 학생들이 북크북크의 특별프로그램 ‘작가와의 만남’과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게 되길 바란다. 앞으로도 학생들의 사고‧경험을 확장하는 내실있는 독서인문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김탁환 작가와의 인터뷰는 11월 4일 월요일 북크북크 인터넷 팟캐스트 ‘팟빵’에서 방송되고, 유튜브‘전남교육NOW’에서도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예산군보건소, ‘건강도시 예산’ 군민건강강좌 성료

[뉴스스텝] 예산군보건소는 지난 7일 예산군문예회관에서 열린 ‘건강도시 예산 군민건강강좌’가 군민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는 △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환 예방 △생활습관 개선에 대한 올바른 건강정보 제공 △건강생활실천 분위기 확산을 위해 마련됐으며, 서울아산병원 내과 우창윤 교수를 초청해 ‘미운 우리 혈당 – 병원에서 못 듣는 당뇨·고혈압 없이 건강하게 사는 법’을 주

세종시교육청, 이음교육 모델 발굴 지원을 위한 공동연수 실시

[뉴스스텝]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은 11월 7일부터 8일까지 ‘유ㆍ어ㆍ초 이음교육 모델 발굴 지원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공동연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이하 유보통합)이 지향하는 이상적 모델을 현장에서 구현하고, 유치원ㆍ어린이집ㆍ초등학교 간 관계 증진과 의견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마련했다.연수에는 세종시 관내 초등학교 교장(교감), 유치원ㆍ어린이집 원장(원감)과 업무 담당 교사, 세종시육아종합지원

논산 선샤인랜드 1950스튜디오, 전통과 감동이 어우러진 마당극과 체험행사 개최

[뉴스스텝] 논산시와 논산문화관광재단(이사장 백성현)은 오는 11월 29일부터 30일까지 양일간, 선샤인랜드 1950스튜디오에서 ‘스튜디오1950 풍류 한마당’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전통문화 공연과 시민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이 어우러진 복합문화행사로,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소통의 장이 될 예정이다. 행사기간 동안 오후 13:00~17:00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메인 공연으로는 전통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