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2024년 문화예술 민간기업 참여 협력프로젝트《그리는 곳이 집이다》 전시 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4 09:30:23
  • -
  • +
  • 인쇄
경기도미술관과 경기문화재단 예술본부 공동기획
▲ 포스터

[뉴스스텝] 경기도미술관은 경기문화재단 예술본부와 “2024 문화예술 민간기업 참여 협력 프로젝트”로 《그리는 곳이 집이다》전을 기획했다. 이 사업은 기업과 연계하는 기획발굴 사업으로 기업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기 위한 예술 프로젝트이다. 민간기업에서는 ㈜삼화페인트공업과 ㈜던에드워드 페인트 코리아가 페인트 협찬으로 참여했고, 다문화 · 사회적 배려 · 문화다양성을 주제로 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다문화를 예술작업으로 풀어 온 김월식 작가와 실제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정크하우스&크리스천 스톰을 초대했다.

전시명 ‘그리는 곳이 집이다’는 늘 그리워하는 곳이 곧 집이라는 이야기에서 시작됐으나, 예술가에게는 그림을 그리는 곳이 집일 수도 있는 중의적인 뜻을 가지고 있다. 김월식 작가는 예전에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국경없는 마을’에 있었던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를 중심으로 활동을 했었고, 수원시 팔달구 지동에 작업실을 연 뒤에는 아시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를 여럿 기획했었다. 또한 정크하우스&크리스천 스톰은 한국에 살면서 그라피티 작가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는데, 특히 경기문화재단과 함께 동두천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큰 규모의 그라피티를 발표한 바 있다. 이런 그들이 이번에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에서 새로운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먼저, 김월식 작가의 작품들은 2023년 베니스비엔날레 제18회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인 《2086 : 우리는 어떻게?》에 출품한 작품들로 구성됐다. 이 전시는 세계 인구가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2086년에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할지에 관한 질문과 탐구를 보여주는 전시였다. 김월식 작가와 건축가 팀 N H D M(황나현, 데이빋 유진 문)은 '이주하는 미래' 프로젝트를 통해 ‘이동’과 ‘이주’라는 주제를 도출했고, 미래 마을의 이야기를 담은 콜라주 시리즈, 미래 공동체의 다양한 믿음을 아스키(ASCII)로 표현한 그림들, 이주민의 삶의 궤적을 드러내는 스토리텔링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이 전시됐다.

김월식 작가는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내부를 신성한 푸른색으로 바꾼 뒤 6점의 '샤먼' 시리즈 드로잉, 이주하는 삶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비닐하우스는 가방이 아니다' 오브제 설치작업, '가방 드로잉1,2', 그리고 영상 작업인 '햇빛 찍어 먹는 아이', '한국어 배우기', '샤먼', '햇빛을 따라 걷기'를 출품했다. 이 작품들을 연결하는 작가의 메시지는 전시 공간에 붙여 놓은 10개의 “뜬소문(Believe it or not)”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세 개를 이렇다.

하나. 사람들은 집을 가지고 이동했다. 그 집은 신전이고 사무실이고 식당이고 모바일이었다. 집 안과 밖으로는 화려한 장식으로 치장됐다. 그 치장은 오랜 이동과 잦은 이동에도 품위와 권위를 잃지 않았다.
둘. 양지와 음지의 구분이 뚜렷한 어떤 지역의 겨울은 매우 추워서 더운 지역에서 이주해 온 노동자는 양지만으로 이어진 지도를 만들었다.
셋. 아이들은 햇빛을 찍어 먹었다.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외벽과 맞은 편 벽면에 그라피티 작업을 진행한 정크하우스&크리스천 스톰의 작품은 '내 작품을 그리는 곳이 집이다'이다. 두 작가가 공동으로 작업한 이 작품은 도시 환경에서의 정체성, 장소, 그리고 예술적 표현의 교차점에 관한 탐구에서 비롯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다인종 커플로서 그들은 한국과 덴마크에서의 문화적 영향을 결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삶의 리듬을 작업에 투영시킨다.

이번 전시에서 그들은 도시가 그들의 정체성일 뿐만 아니라 창작 과정에서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했다. 그러니까 주변 환경 – 건축, 거리 생활, 도시 디자인의 미세한 차이점들 – 에서 영감을 받아 그들 경험의 연장선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그리고 “내 예술을 그리는 곳이 집이다”라는 개념이 정적인 장소로 한정되는 것에 대해서도 그들은 문제를 삼는다. 왜나하면 그들은 늘 새로운 도시에서 그들의 새로운 예술적 비전을 채워가기 때문이다.

이번 작업에서 그들은 정체성과 장소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업을 탐색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집의 유동성을 경험하도록 관객들을 초대한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그들의 예술적 시각을 통해 새로운 여정을 받아들이기를 바란다. 그러니까 그들은 그들의 붓질 하나하나가 모두를 연결하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시는 2025년 2월 28일까지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에서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중소벤처기업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소비의 즐거움이 두 배! 제2차 상생소비복권, 온누리 환급행사 추진

[뉴스스텝]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국가 단위 대규모 소비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Korea Grand Festival)」의 일환으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소비 활성화로 내수를 진작하고, 이를 경제성장으로 이어가도록 기획됐다. 국가 단위 할인축제와 연계해 소비자에게는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활력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상생소비복권 】

김민석 국무총리, APEC CEO Summit 2025 환영 만찬 축사, 글로벌 경제협력 비전 '3B' 제시

[뉴스스텝] 김민석 국무총리는 10월 28일 오후 경주 화랑마을 어울마당에서 APEC CEO Summit 2025의 ‘첫번째 환영행사’인 CEO 환영만찬을 주재했다.APEC CEO Summit 2025는 10.28일부터 31일까지 3박 4일간 경주에서 개최되며, 정상회의와 함께 APEC의 양대 협력 플랫폼으로 APEC 정상과 기업 CEO 등 세계 리더가 모여 글로벌 핵심 이슈를 논의하고, 혁신적 아이디어

농촌진흥청, 농촌이 교실이 된다! 농촌체험학습 우수기관·교육농장 선정

[뉴스스텝] 농촌진흥청은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2025년 농촌체험학습 우수사례 경진대회’ 결과를 발표했다. 기관 분야는 수상자는 △대상(교육부장관상):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최우수상(농촌진흥청장):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우수상(농촌진흥청장상):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여주시농업기술센터이다. 농업인 분야는 수상자는 △대상(교육부장관상): 군산 만나농장 고일권 대표 △최우수상(농촌진흥청장): 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