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군 'Chat-GPT 군정접목' 결과발표회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1 09:05:03
  • -
  • +
  • 인쇄
AI 기술 접목 군정 혁신 추진성과 공유
▲ ‘Chat-GPT 군정접목’ 결과발표회

[뉴스스텝] 양구군은 지난 30일 오전, 양구군청 중회의실에서 ‘Chat-GPT 군정접목 결과발표회’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행정에 접목한 혁신 추진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발표회에는 양구군 12개 부서가 참여해 부서별 AI 활용 사례와 향후 발전 방향을 발표하고 토론했다.

양구군은 올해 초부터 Chat-GPT 팀 버전 지원을 시작으로 전 직원 집합교육, 심화 및 온라인 교육, 토의, 부서별 컨설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군정 업무의 AI 접목을 적극 추진해왔다.

특히 이번 발표회에서는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기반 기술을 활용한 행정업무 혁신 방안이 중점적으로 제시됐다.

RAG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방대한 행정자료를 검색·분석·요약해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하는 차세대 AI 기술이다. 양구군은 GPT 단독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정보 생성이나 처리 용량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RAG를 도입해,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행정 문서를 보다 신뢰성 있게 처리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상하수도사업소의 민원 데이터 분석 자동화 △건설과의 도면 검토 지원 △농업지원과의 퍼플렉시티 활용 및 귀농 정책 분석 △농업정책과의 귀농귀촌 데이터 크롤링 △도시교통과의 조감도 시뮬레이션 △관광문화과의 박물관 AI 해설 및 고문서 해석 지원 △세무회계과의 지방계약 법령 검색 지원 △사회복지과의 공적조서 작성 지원 △평생교육과의 민원 Q·A 시스템 개발 △민원서비스과의 민원 보고서 자동화 등 다양한 부서별 AI 활용 사례가 발표됐다.

참여 부서들은 AI 기술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주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업무 부담 경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양구군은 앞으로도 AI 기반 데이터 검색·분석 기능을 고도화하고, 내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정책 결정 지원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 보안과 AI 답변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술개발과 시범 적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지희 기획예산실장은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혁신의 필수 도구”라며, “차세대 AI 기술을 적극 도입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 행정을 구현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성군장난감도서관 유아발레콩쿨반, 제74회 개천예술제 전국무용경연대회 최우수 수상

[뉴스스텝] 고성군장난감도서관(고성군어린이집연합회) 유아발레콩쿨반은 지난 9월 28일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 제74회 개천예술제 전국무용경연대회 유치부 발레군무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역사와 전통의 개천예술제 전국무용대회에서 고성군장난감도서관 유아발레 콩쿨반 김세아, 김현서, 명주연, 천지윤 4명의 유아들이 ‘발레리나의 하루'에 맞춰 전문적인 발레를 선보여 심사위원들로부터 예술성을

고성보건소, 제20회 임산부의 날 기념 행사 성황리 개최

[뉴스스텝] 고성군은 10월 10일, 제20회 임산부의 날을 기념하여 책둠벙 도서관(힐링공원 내 어린이 도서관) 앞에서 기념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임산부 및 예비부모 110여 명이 참석했으며 다양한 정보를 나누고 임산부의 날을 기념해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행사장에서는 △임산부 체험복 착용 △즉석 사진 남기기 △영유아 동행 가족 기념 풍선 증정 △건강 체크(빈혈, 혈압, 임산부 및 영유

영도미술인모임 절영회 '제23회 절영전'개최

[뉴스스텝] 영도미술인모임 절영회는 오는 10월 20일 오후 5시 30분 영도문화예술회관 선유갤러리에서 ‘제23회 절영전’오픈식을 개최한다. 이번 오픈식에는 절영회 윤진우 회장 외 작가 37인을 비롯한 지역 미술인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영도와 인연이 깊은 미술인 모임인 절영회는 1986년도에 창립되어 서양화, 한국화, 서예, 조각,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문화 예술인들을 배출해 왔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