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유기 동물 입양 사진․수기 공모전 개최… '함께해서 더 행복하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9 08:45:34
  • -
  • +
  • 인쇄
추석 연휴 맞아 취약계층 반려동물 위한 ‘우리동네 펫위탁소’ 운영
▲ 2025 중랑 유기동물 입양 사진‧수기 공모전 포스터

[뉴스스텝] 중랑구는 유기 동물 입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고, 생명존 중 문화 확산을 위해 ‘2025 중랑 유기 동물 입양 사진·수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 기간은 9월 25일부터 10월 15일까지다.

이번 공모전은 ‘제3회 중랑 반려 가족 문화축제’의 사전 행사로, 유기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한 이후의 따뜻한 일상을 나누며 입양 문화를 확산하고자 기획됐다.

공모 주제는 ‘유실·유기 동물 입양 후 함께하는 행복한 일상’이다. 2023년 이후 중랑구에서 개 또는 고양이를 입양한 구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입양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와 함께 소중한 순간을 담은 사진과 수기를 제출하면 된다.

출품은 1인당 최대 3점까지 가능하다. 사진은 JPG 또는 JPEG 형식으로 2,000×3,000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충족해야 하며, 2023년 1월 이후 직접 촬영한 작품이어야 한다. 촬영 일시 등 메타정보가 포함돼야 하며, 합성사진이나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는 출품할 수 없다. 수기는 참가자가 직접 작성한 300자 이상의 내용이어야 한다.

공모작은 외부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대상(1명), 최우수상(1명), 우수상(2명), 장려상(3명) 등 총 7점의 수상작을 선정하며, 수상자에게는 반려동물 유모차 등 관련 용품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입선자 10명에게는 커피 쿠폰(1만 원 상당)이 증정된다.

수상작은 오는 11월 8일에 열릴 ‘제3회 중랑 반려가족 문화축제’ 현장에서 전시되며, 향후 동물복지 관련 홍보물에도 활용될 계획이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성숙한 반려문화는 생명존중의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이번 공모전이 유기동물 입양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반려 문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추석 등 장기간 외출 시 돌봄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해 ‘우리동네 펫위탁소’를 운영, 반려동물 방치와 유기를 예방하고 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1인 가구 등을 대상으로 최대 10일까지 위탁 비용을 지원하며, 지역 내 지정된 위탁업체(망우동 금란동물애견)에서 안전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